중소중견기업 인사담당자 10명중 6명이 중장년 직원 채용 후 이들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알바천국
/사진=알바천국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운영하는 채용정보 검색사이트 ‘잡서치’가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와 공동으로 3월 27일부터 4월 9일까지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288 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중소중견 기업의 채용계획 및 중장년 채용인식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중장년 채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중소중견기업이 조사대상 기업의 76.7%인 221 곳으로 나타났다.


이중 66.5%는 채용한 중장년이 경영 성과에 “매우 도움이 됐다(33.9%)”, “약간 도움이 됐다(32.6%)”고 답했으며, “보통이다(28.1%)”, “별로 도움이 안됐다(4.5%)”, “전혀 도움이 안됐다(0.9%)”라고 답한 비율은 33.5%에 불과했다.

구체적으로 도움을 받은 분야로는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전수로 직원들의 업무 역량 제고(32.5%)”와 “업무 충성심, 성실성으로 일하는 분위기 쇄신(28.7%)”였으며, 다음으로 “업무 효율성 제고와 조직문화 개선(16.1%)”, “매출증가,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14%)”,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조직융화(8.7%)”등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3년 사이 중장년 채용 경험이 있는 기업에 취업한 중장년의 평균 근속연수는 6개월 이하 7.2%, 1년 이하 19.5%, 3년 이하가 46.6%로, 재취업 3년 내 퇴사하는 비율은 73.3%를 차지했다. (5년이하 19.9% / 5년초과 6.8%)
/사진=알바천국
/사진=알바천국

한편 중소중견기업 64.2%는 올해 중장년 채용 계획 의사를 밝혔다.

직종별 채용계획을 보면 “단순 노무직”이 26.8%로 가장 많았고, “연구·기술(20.0%)”, “생산·품질관리(19.3%)”, “영업·마케팅(17.7%)”, “사무관리(16.2%)”순으로 이어졌다.

중소중견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중·장년 채용 시 우선 고려사항으로 “직원과 소통할 수 있는 조직융화력(36.5%)”을 꼽았다. 이어 “성과 창출을 위한 직무역량, 외국어 등 전문지식(24.7%)”,”높은 업무 강도에 적응할 수 있는 건강(21.5)”, “학력, 자격증 보유’(8.2%)”, “나이(7.3%)”, “기타(1.8%)” 순으로 응답했다.


인사담당자 48.3%는 신입사원 채용보다 중장년 채용에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들이 중장년 채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경력에 적합한 임금책정이 곤란해서(39.8%)”였다. 기타 다른 이유로는 “중장년 직급에 맞는 일자리가 없다(19%)”, “기존 직원과의 연령차이로 인한 부조화 우려(18%)”, “실무 업무에 적합한 지원자가 없다(13.7%)”, “노동생산성 등 업무 능력이 청년층보다 떨어진다(9.5%)”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