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랜드마크로 불리는 해운대 위브더제니스(왼쪽)와 해운대 아이파크. /사진=김창성 기자
부산의 랜드마크로 불리는 해운대 위브더제니스(왼쪽)와 해운대 아이파크. /사진=김창성 기자
고층 아파트가 높은 희소성을 앞세워 최근 다시 인기몰이 중이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 발표한 2017년 건축물 현황 통계에 따르면 31층 이상의 고층 건축물은 전국 712만6526동 중 1912동이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0.03%에 불과할 정도로 희소성이 크다.

고층 건축물의 희소성이 큰 만큼 수요자들에게도 인지도가 높다. 국내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인 롯데월드타워는 지상 123층으로 지어져 준공 전부터 단번에 이름을 알리는데 성공했다.


내년 준공 예정인 부산롯데타운은 107층으로 지어져 60~80층 아파트가 즐비한 해운대 아파트들을 뛰어 넘는 부산의 새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층 아파트는 분양 성적도 좋다. 지난 4월 분양한 ‘동탄역 금성백조 예미지 3차’는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 107대1을 기록하며 올해 수도권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단지는 지상 47층 높이로 지어지는데다 ‘신고전주의’를 지향하는 클래식한 외관 디자인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올 초 3.3㎡당 실거래가 8000만원을 돌파한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도 최고 38층에 달하는 고층 아파트다. 이 단지는 한강공원 앞에 위치해 쾌적한 환경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한강 조망이라는 희소성까지 더해져 3.3㎡당 1억원 돌파도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층 아파트는 우뚝 솟은 상징성으로 인해 지역 내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며 “공급에 비해 수요가 더 풍부하기 때문에 매물 또한 희소성이 커 환급성도 뛰어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