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 ‘라돈침대’ 6종 추가 확인… 수거대상 모델 27개로 늘어
허주열 기자
2,836
공유하기
![]()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회원들이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진 라돈침대 회수현황 공개 및 소비자피해보상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것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1일 “지난달 25일 정부 합동브리핑 이후 대진침대 등에 관한 조사를 계속해왔다”며 “아르테2(195개)·폰타나(381개)·헤이즐(455개) 3종의 매트리스가 안전기준을 초과했고 2010년 이전에 단종된 모델에 대해서도 조사한 결과 2종 모델이 안전기준을 넘어선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대리점 등을 통한 개별판매가 아닌 대진침대와 A사 간의 특별계약에 따라 납품했던 매트리스를 조사한 결과 트윈파워(443개) 모델에서도 안전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원안위에 따르면 이 6종의 매트리스는 모두 피폭방사선량이 연간 1밀리시버트(mSv)를 넘어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기준을 넘은 채 판매됐다.
다만 원안위가 지난달 25일 발표한 타사 매트리스 조사와 관련해선 6개 업체 매트리스를 정밀분석한 결과 모자나이트가 사용되지 않았고 방사선으로 인한 영향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안위에 신고된 수입업체로부터 모자나이트를 구입한 66개 구매처 중 현재까지 15개 업체가 내수용 가공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들에 대한 조사결과 대진침대 매트리스 1건을 제외한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을 충족했다.
정부는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 매트리스 수거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날 오후 1시 기준 6만3000건이 대진침대로 수거 접수됐으며 1만1381개가 수거 완료됐다.
정부는 대진침대가 정부에 제출한 조치계획과 달리 수거가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는 점을 고려해 대진침대가 확보한 수거 물류망과 별도로 우정사업본부의 물류망을 활용해 오는 16~17일 매트리스를 집중 수거하는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대진침대 및 우정사업본부의 수거 작업자와 작업차량 등에 대한 안전지침을 제공하고 교육을 실시하는 등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며 “대진침대에 추가적인 행정조치를 시행하고 단종된 모델 및 특별 판매된 모델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조사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