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카카오페이, 국내 간편송금 시장 장악
김정훈 기자
2,859
공유하기
![]() |
![]() |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전자금융업자의 간편송금 거래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비바리퍼블리카, 네이버, 쿠콘, 카카오페이, NHN페이코, 엘지유플러스, 핀크 등 7개 간편송금업체의 이용금액은 전년(2조4413억원) 대비 389.7% 늘어난 11조9541억원(2억3633만건)을 기록했다.
이중 토스와 카카오페이는 전체 96.4%를 점유했다.
토스는 지난 2015년 휴대폰 번호만으로 가능한 송금서비스를 최초로 시작해 선점효과를 누렸다. 2016년 4월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페이는 이미 대중화된 카카오톡 메신저를 기반으로 무료 송금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 건수와 금액 비중을 늘렸다.
다만 간편송금 서비스가 이들 업체의 직접적인 수익 창출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네이버와 카카오페이, 핀크는 간편송금 수수료를 완전 무료로 운영하고 있으며, 비바리퍼블리카와 쿠콘, NHN페이코, 엘지유플러스는 특정 조건에서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7개사는 송금시 은행에 건당 150~450원의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데, 엘지유플러스를 제외한 6개사는 무료 고객의 비중이 72~100%로 높아 간편송금을 통해서는 대부분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해외 간편송금업체의 사례와 유사하게 간편송금 서비스로 고객을 확보한 뒤 금융플랫폼으로 소비자금융을 연계 제공하는 등 신규 수익원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감원은 간편송금업체가 건전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기존의 선불전자지급업자 업무보고서로는 간편송금의 거래현황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어, 주기적으로 간편 송금 거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자금융업자 업무보고서에 ▲간편송금 서비스 수행 여부 ▲간편송금 서비스 명칭 ▲간편송금 이용 건수 및 금액 ▲간편송금 관련 미상환 잔액을 반영토록 할 예정이다.
또한 미상환잔액 규모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간편송금 거래 비중이 큰 비바리퍼블리카와 카카오페이가 적자 상태라는 점을 고려해, 고객 자산인 미상환잔액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미상환잔액 중 일정비율을 안전하게 예치하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