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한일 외교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심혁주 기자
1,490
공유하기
![]() |
첫 일본군 '세계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이해 서울 종로구에서 퍼포먼스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한 시민이 그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류은혁 기자 |
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14일 오후 1시부터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진행된 첫 정부 기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저는 이 문제가 한일 간의 외교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바란다"라며 "양국 간의 외교적 해법으로 해결될 문제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자신과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가 전체 여성들의 성폭력과 인권문제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다시는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굳은 각성과 교훈으로 삼을 때 비로소 해결될 문제"라며 "우리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오늘 첫 국가기념식을 갖는 취지가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정부는 피해자 할머니들과 지속적인 소통에 성의를 다할 것"이라며 "피해자 중심 문제 해결이라는 국제사회의 인권규범에 따라, 할머니들을 문제해결의 주체로 존중하겠다.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한 기념사업도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피해자들의 증언과 시민사회, 학계의 노력으로 진실의 뼈대는 드러났지만, 아직 길이 멀다"라며 "기록의 발굴부터 보존과 확산, 연구지원, 교육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곽예남, 김경애 할머니와 보호자 등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양승조 충남도지사, 추미애 민주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전해숙 여성가족위원장, 이명수 보건복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장하성 정책실장과 김수현 사회수석 등이 자리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