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 오피스텔 실거래가 2.2배 차이
김창성 기자
2,183
공유하기
![]() |
서울 송파구의 한 오피스텔. /사진=김창성 기자 |
22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최근 오피스텔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서울과 그 외 지역의 가격 차이는 더 커졌다.
지난 2011~2014년 1억8000만원대에 머물던 서울의 오피스텔 호당 평균 실거래가는 2015년 2억원을 돌파했으며 올해 2억4713만원으로 상승하며 최근 4년간 큰 폭으로 올랐다.
경기·인천도 2015년부터 가격이 빠르게 상승했다. 서울 등 수도권의 오피스텔 거래가 상승과는 달리 지방은 2016년 1억2289만원의 평균 거래가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다.
전용면적 기준 ㎡당 오피스텔 실거래가는 서울이 올 들어 600만원 이상으로 올라 평균 623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2015년 ㎡당 500만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만에 600만원 이상으로 거래가가 상승한 수치다. 2009년 400만원을 돌파한 이후 6년만에 500만원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 속도가 두배로 빨라졌다.
경기·인천은 지난해 소폭 하락한 이후 다시 상승하며 ㎡당 351만원의 거래가를 기록했다.
지방은 건당 거래가격 하락과는 달리 ㎡당 거래가는 꾸준히 상승, 283만원에 거래가 진행됐다. 다만 서울과 경기·인천의 가격 상승에 비해 2017년 대비 4만원 증가에 그쳐 증가폭은 줄었다.
서울과 경기·인천은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기에 대체 상품으로 오피스텔 공급이 크게 늘며 가격 상승폭이 컸다는 분석이다.
반면 지방은 지역 경제 침체로 인한 고용 불안으로 임차수요의 감소,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체가 영향을 미치며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미국 발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방은 임차 수요기반이 취약해지고 있어 오피스텔 투자여건 악화는 더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