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올해 장애인 일자리 4109개 만든다
부산=김동기 기자
7,084
공유하기
![]() |
부산시청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머니S MNB, 식품 외식 유통 · 프랜차이즈 가맹 & 유망 창업 아이템의 모든 것 |
부산시는 ‘2019년 장애인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에서 장애인 재정지원 일자리 제공, 민간일자리 창출 및 취업지원을 비롯한 6개 추진전략 18개 주요사업으로 4109개의 장애인 일자리를 만들고 311억원(전년대비 60억원 증액)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1일 밝혔다.
재정지원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장애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제공하여 소득 보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구·군의 행정도우미, 주차단속, 환경정비, 학교 급식도우미, 어르신 안마서비스,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 등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일자리 1289개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처음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행정안전부 공모)의 일환으로 ‘장애인 청년인턴 및 현장매니저 지원 사업’에 국·시비 매칭 사업비 12억원을 투입해 장애인 고용친화 기업을 발굴하고 직무 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장애인 일자리로 발굴해 나간다.
또한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인 3.4%를 넘어 부산시 조례상 비율인 5% 달성을 위해 ‘직무분석 컨설팅단’을 운영하는 등 시 산하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하여 노력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장애인 채용박람회 개최하고 장애인 기능경기대회를 지원하는 등 장애인 민간일자리 창출과 취업지원도 확대한다. 지난해 게임물관리위원회와 체결한 장애인 일자리 창출 협약을 통해 올해부터 운영되는 ‘게임물 모니터링단’에 장애인이 50% 이상(15명) 채용될 예정이며 이를 계기로 4차산업 분야에 새로운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장애인 직업재활과 소득증대도 지원한다. 장애인 자립을 위한 직업재활시설 운영을 지원하고, 직업재활시설 개보수 및 장비보강 등 환경개선을 진해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돕는다. 또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와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전시회 개최 등으로 중증장애인의 안정된 소득 보장도 지원한다.
중증장애인 지원과 여성장애인의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한 중증장애인 지역맞춤형 취업지원과 네일케어 사업도 추진된다. 특히 부산시는 지난해 맞춤형 일자리 사업으로 ‘여성청각장애인 네일케어 시범사업’을 전국 최초 시행한 바 있으며 올해는 네일아트 국가자격 취득 및 창업까지 지원하는 좋은 일자리의 새로운 모델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장애인 일자리 유관기관과 협업을 강화하여 특화된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며 “일하려는 장애인 모두가 일자리를 갖는 행복도시 부산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동기 기자
머니s 영남지사 김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