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료진 "폐경초기 여성에 호르몬치료 적합… 사망률 ↓"
한아름 기자
1,190
공유하기
![]() |
삼성서울병원 전경. /사진=삼성서울병원 |
윤병구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배종면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와 함께 60세 미만 폐경초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체 사망률 분석을 진행했더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폐경호르몬요법은 대부분 갱년기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폐경초기에 시작하는게 일반적이다. 호르몬치료로 삶의 질이 향상되지만 일부에서 부작용으로 유방암이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미국질병예방태스크포스(USPSTF)가 “2017년 12월에 호르몬치료는 위험을 고려할 때 전체적으로 이득이 없으므로 노화관련 만성질환(관상동맥질환, 골절, 치매)의 일차예방을 위해 폐경호르몬치료를 권고하지 않는다”고 주장한 것에 반대되는 연구결과라 더욱 관심이 집중된다.
연구팀은 “폐경호르몬치료가 비교적 젊은 폐경환자들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가 이어지면서 이런 우려를 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사망률 감소만큼 확실한 치료효과도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폐경초기 여성에 대한 호르몬치료효과를 장기간 추적해 밝힌 임상시험 4개를 토대로 전체 사망률에 대한 효과를 조사했다. 또한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2개와 관상동맥질환 등 만성질환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2개를 메타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60세 미만 건강한 폐경여성이 페경호르몬치료를 받았을 때 전체 사망률은 13% 의미있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인 경우도 16% 감소하는 건강인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두 그룹을 합해 분석한 결과 전체 사망률은 유의하게 13% 감소했다. 또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병합요법보다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에서 확실한 효과를 보였다.
폐경호르몬치료로 인한 사망률 감소는 치료 중 더욱 뚜렷했다. 이 기간의 전체 사망률은 두 그룹 모두를 합해 분석했을 때 41% 감소됐다.
윤병구 교수는 “폐경호르몬치료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와 걱정으로 치료를 미뤄선 안된다”며 “각종 갱년기장애가 개선돼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망률도 낮출 수 있는 만큼 진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