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美 기밀 문건 해제' 백악관 청원, 닷새 만에 1000명 이상 참여
정소영 기자
공유하기
![]() |
백악관 청원 홈페이지. /사진=뉴시스 |
미국이 보유한 5·18 민주화운동 문건의 기밀해제 및 제공을 요구하는 백악관 청원이 닷새 만에 1000명 넘게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청원은 광주를 지역구로 둔 최경환 민주평화당 의원이 지난달 29일 제기한 것으로 백악관 인터넷 청원페이지에 ‘1980년 대한민국 5·18 민주화운동 관련 미국 정부 문건 공개 및 제공 요청(Request to Disclose and Provide U.S. Government Documents on Korea’s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이라는 제목으로 게재했다.
청원에는 '5·18 민주화 운동은 아픔의 역사다. 신군부의 정권찬탈 음모에 맞선 광주 시민들이 무차별하게 학살당한 것', '39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5·18에 대한 완전한 진상규명이 되지 않았다', '미국 백악관, CIA, 국무부 등의 5·18 관련 기밀문건을 공개하고 한국 정부에 제공하길 요청한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
백악관 청원은 청와대 청원 게시판과 유사하다.
다만 청와대 청원이 30일 동안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답변을 하는데 비해 백악관은 30일 동안 10만명 이상이면 공식 답변을 하도록 하고 있다.
백악관 청원은 서명란에 이름과 성, 이메일을 입력하고 동의한 다음 입력한 계정으로 발송된 이메일을 읽고 자신이 청원에 서명했음을 확인한다는 문구를 클릭해야 청원 동참이 마무리된다.
아울러 150명 이상이 동의한 다음부터 해당 글이 인터넷 게시판에 노출된다. 최 의원의 청원글은 150명의 동의를 얻어 지난 30일(한국시간) 오후 2시부터 노출되기 시작했다.
최 의원은 3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자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이 39년 전 한국 5·18에 관한 상황을 소상히 기록한 미국 정부의 기밀문서들을 한국 정부에 공개할 것을 요청하는 청원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실제 미국은 지난 2016년 오바마 정부 때 아르헨티나 비델라 군사정권을 비호한 내용이 담긴 비밀문서를 아르헨티나 정부에 제공해 진상규명을 지원했던 사례가 있다. 트럼프 정부에서도 지난해 4월 관련 자료를 아르헨티나에 제공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미국과 캐나다 등 미주지역에 있는 한인 단체에서도 청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해 왔다"며 "39년 동안 숨겨져 왔던 5·18의 진실이 밝혀질 수 있도록 국민들과 해외 동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