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본회의 안건 필리버스터를 신청한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어린이 교통사고 피해자 부모들이 관련 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자유한국당이 본회의 안건 필리버스터를 신청한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어린이 교통사고 피해자 부모들이 관련 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어린이생명안전법안통과를 기다리던 유가족들이 29일 자유한국당의 필리버스터(무제한토론) 신청으로 인해 법안 처리가 무산될 위기에 놓이자 국회 정론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태호군의 아버지인 김장회씨는 “아내가 (국회의원 앞에서) 엄마들과 무릎을 꿇었을 때 정말 그만하고 싶었고 그렇게 비굴할 수가 없었다”면서 “그래도 아이들을 위한 것이라 참았다”고 말했다.


이어 “민식이법 하나라도 해달라는데 그게 그렇게 어렵냐”면서 “다른 이유도 아니고 진짜 너무하다. 이게 대한민국의 정치현실인가, 정말 이 나라가 싫다”고 말했다.

김태호 군의 어머니 이소현씨는 “여기 계신 분들은 다 생업을 내려놓고 국회로 출퇴근하고 있다”면서 “여야 간 협상이 안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선거법에 왜 민식이, 하준이, 해인이, 태호, 하준이 엄마 아빠 얘기가 나와야 하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의 말에 민식이 어머님이 많이 울고 있다”면서 “정말 이거 아닌 것 같다. 아무것도 모르는 제가 국회의원들 만나고 돌아가는 상황을 보니 정치는 국민이 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해인양의 아버지 이은철씨는 “왜 도대체 아이들을 이용해서 이렇게까지 하는지 이유를 듣고 싶다”면서 “우리 아이들 이름 이렇게 사용하라고 뒤에 ‘법’자 붙여서 아이들법을 만든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 제발 아이들 조금이라도 안전할 수 있게 만들어달라는건데 그게 그렇게 힘든 거냐”라면서 “선거때가 되면 표 받으려고 굽실거리고 지금은 국민들이 무릎을 꿇어야되고 고저히 이 상황이 이해가 안된다”고 꼬집었다.

이해인양의 어머니 고은미씨는 “매일 세시간 쪽잠 자며 여기로 출근해서 정말 비굴하게 무릎까지 꿇으면서 힘들게 온 자리”라면서 “아이들 갖고 협상하려고 하지말고 똑바로 정치다운 정치를 하라”고 강조했다.


최하준군의 어머니 고유미씨는 “우리나라 정치의 민낯을 봤다”면서 “우리가 여기까지 온 것이 국회의원들의 선의에 의한 부모로서의 마음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런에 오늘 나 원내대표가 사실을 말해줬다”면서 “저희 아이들의 목숨과 거래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민식 군의 어머니 박초희씨는 “왜 우리 민식이가 그들의 협상카드가 돼야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우리 아이들을 이용하지 마라”고 말했다.

한편 나 원내대표는 “민식이법 등 주요 민생법안은 애초에 필리버스터 대상 법안에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민생법안 먼저 처리하고 필리버스터 기회를 보장해달라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앞서 한국당은 이날 ‘유치원 3법’ 등 이날 본회의에 상정되는 모든 안건에 대해 필리버스터를 신청했다. 한국당의 이 같은 결정으로 본회의에 상정되는 '유치원 3법'과 '민식이법', '데이터 3법' 등 본회의에 오를 모든 안건이 이날 처리가 어렵게 됐다. 한국당의 필리버스터 신청으로 이날 예정됐던 국회 본회의 개회도 미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