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비법 알려달라"… 문 대통령, '전화 정상회담' 바쁜 나날
안경달 기자
64,130
공유하기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보이코 보리소프 불가리아 총리와 통화하고 있다. /사진=뉴스1(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바쁜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에서 코로나19 대응 문의가 쏟아지면서 이틀에 한번 꼴로 각국 정상과 통화한 것.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2일 문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응 국제적 연대를 위한 정상외교 현황 관련 브리핑을 통해 "한국 방역체계에 대한 경험 공유와 한국산 진단키트 등 관련 의료기기 지원요청이 대통령의 정상통화가 빈번하게 이뤄진 요인이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 지난달 2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를 시작으로 이날 오전 두케 콜롬비아 대통령까지 총 14번의 정상통화를 가졌다. 이날 오후 예정된 정상통화까지 포함하면 오늘까지 총 15번의 정상통화를 한 것이다. 윤 부대변인은 "주말을 제외하고 평일 기준으로 31일 동안 15회 통화가 이뤄져 평균 이틀에 한 번 꼴로 정상통화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정상통화 외에도 최근 한달간 해외 6개국 정상이 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다. 아웅산 수찌 미얀마 국가고문, 분냥 보라칫 라오스 대통령,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하싸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알라산 와타라 코트디부아르 대통령 등이다.
윤 부대변인은 "서한 내용은 우리나라가 보건 위기에 대처하는 데 모델이 되고 있으며 전염병 예방 및 통제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공유하기를 희망한다. 우리 국민들이 문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전염병을 이겨내고 시련을 극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정상통화와 서한 접수를 종합하면 문 대통령은 G20 특별 화상정상회의를 제외하고도 최근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총 21개 국가 정상들과 소통한 셈이다. 대륙 분포를 보면 미국을 비롯한 북미 2개국, 남미 1개국,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5개국, 유럽 7개국, 중동 3개국, 아프리카 3개국 등이다. 윤 부대변인은 "2월 20일 이후 오늘까지 전 대륙에 걸쳐 정상외교가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윤 부대변인은 "관련국과의 긴밀한 협의 하에 아세안+3 특별 화상정상회의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정상통화를 희망하는 국가들과 적극 소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