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광주·전남 전문가들이 제시한 방향은?
광주=이재호 기자
공유하기
![]() |
/사진=한국은행 광주전남지역본부 제공. |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광주·전남지역 경제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28일 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코로나19와 광주전남 지역경제'를 주제로 지역경제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준범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과장이 '코로나19가 광주전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종천 광주광역시 일자리 정책관이 '코로나19 대응 지역경제 지키기-광주광역시 민생안정대책 추진상황'을 주제 발표에 나섰다.
'코로나19가 광주전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표한 이준범 과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업황이 부진하고 소비도 위축되면서 지역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악화됐으나 지자체의 적극적인 방역 조치 등으로 확진자수가 타 지역에 비해 적게 발생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피해 정도가 작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향후 코로나19 사태가 안정화되더라도 온라인 쇼핑·재택근무·온라인 교육 등 비대면 경제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역차원에서 온라인·비대면 기반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구종천 광주시 일자리 정책관은 "소상공인 3無(무이자·무담보·무보증료) 특례보증, 공공요금 동결, 긴급생계자금 지원, 고용유지지원금, 공공일자리 사업, 소상공인·중소제조업 신규 채용 인건비 지원 등을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해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나주몽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이후형 광주상공회의소 기획조사본부장, 이재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광주남부센터장이 참여해 코로나19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광주전남지역의 정책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리쇼어링(reshoring, 해외진출 기업의 본국 회귀)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자체 등에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해 국내 기업은 물론 해외의 첨단산업과 투자 유치▲내수경제 비중을 늘리고 온라인·비대면 비즈니스 모델 활성화로 AI 중심도시 등 지역 현안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무차별적인 자금지원은 만성적인 한계기업과 지자체의 재정부담 등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영향으로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선별적인 핀셋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이재호 기자
광주전남지역 경제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독자 여러분께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