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로고./사진제공=국민의힘.
국민의힘 로고./사진제공=국민의힘.
최근 창원시의 한 원룸에서 모녀가 사망한 사건을 두고 도내 정치권에서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국민의힘 경남도당 이재환 대변인은 4일 이와 관련, 논평을 내고 "현 정부는 그동안 국정과제로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을 강조해왔고 김경수 지사도 지난 선거 때 '가슴 아픈 사연이 경남에서는 절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추석을 앞두고 알려진 창원 모녀 사건은 도민뿐 아니라 전 국민에게 안타까움을 주었다"며 "모친의 돌연사 후 딸이 아사했을 것으로 보는 경찰의 추정은 탄식과 함께 분노를 절로 나오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앞서 진보당 경남도당도 논평을 내고 이번 사건은 사회안전망의 구멍으로 인한 '사회적 타살 사건'이라고 규정하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송파 세 모녀 사건이 6년이나 지났지만, 성북 네 모녀, 탈북 모자 비극 등 사회안전망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이 같은 비극이 발생했다"며 "이번 사건은 도내 사회안전망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음을 반증한다"며 경남도의 재발방지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또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이 늘어날수록 취약계층의 사회적 고립은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며 "이런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안전망 체계를 즉각 점검하고 이와 관련된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5일 창원시 마산회원구 한 원룸에서 모녀가 사망한 채 20여 일이 지나 발견됐다. 모녀 모두 정신질환 병력이 있었으며, 2015년 기초생활수급 신청을 했지만 재산액이 지급기준에 일정 초과해 수급대상자가 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경찰청은 부검결과, 독극물이 검출되지 않아 생활고로 인한 극단적 선택 가능성보다는 엄마의 돌연사 이후 딸이 아사한 것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