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2월 10일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에서 열린 '전국 지검장 및 선거 담당 부장검사 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2월 10일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에서 열린 '전국 지검장 및 선거 담당 부장검사 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이낙연 민주당 대표 등 지도부가 윤석열 검찰총장을 맹폭한 데 이어 검찰을 겨냥한 민주당의 비판 메시지가 이어지고 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7일 현안 서면 브리핑을 통해 "검찰총장은 선출된 국민의 대표가 아니며 검찰 역시 정당이 아니다"며 "국민으로부터 부여받은 권한은 본인과 조직이 아닌 국민을 위해 써야 한다"고 밝혔다. 

검찰이 선출되지 않은 권력인 만큼 선출된 권력인 문재인 대통령의 권한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그는 "정치인의 생각을 알고 싶으면 말이 아닌 발을 보라는 이야기가 있다"며 "월성 1호기 수사 관련, 국민의힘 고발장이 향한 곳과 윤석열 총장의 발이 찾은 곳은 모두 같은 곳이었다"고 말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6월 대검찰청 감찰부에 윤석열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 집행 내역을 조사하라고 지시한 것에 대해서는 "윤 총장의 발이 향했던 곳이 직분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고 본인의 위치에 충실했던 곳이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대검찰청이 올해 윤 총장의 지방 검찰청 순회 영상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강 대변인은 "지난 이틀간의 고강도 압수수색 논란 이후 검찰 식구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였을까"라며 "대검찰청이 뒤늦게 공개한 영상 속의 윤석열 총장은 시종일관 밝은 모습이었다"고 했다. 

이낙연 대표도 6일 최고 회의에서 검찰의 월성 1호기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 수사를 두고 청부 수사이자 정치개입이라고 규정했다. 검찰이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공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자 이에 반발한 것이다. 

그는 "에너지 전환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중요 정책"이라며 "이에 대한 사법적 수사는 검찰이 이제 정부 정책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겠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