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피아'로 물든 은행·보험업계… 금투협은 다른 이유
김정훈 기자
2,415
공유하기
![]() |
최근 금융업계 협회장 '낙하산 논란'이 거센 가운데 금융투자협회는 회장 선출과 관련, 관피아 잡음이 없다는 점에서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사진=뉴스1 DB |
하지만 금융투자협회는 회장 선출과 관련, 관피아 잡음이 없다는 점에서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금투협회장은 전 회원사가 투표에 참여하는 등 비교적 투명한 선거 절차를 통해 관출신 인사가 수장직에 아예 엄두를 못 내는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평가다.
손병두 급부상… 또 관피아?
지난 17일 한국거래소 노동조합은 차기 이사장 자리에 정치인과 금피아 등 정부의 개입 우려가 있는 낙하산 인사를 반대한다며 공식 입장을 내놨다. 거래소 이사장으로 거론되는 손병두 부위원장 등 관피아 인사로는 금융투자자를 보호하고 거래소의 독립성을 보장받기 어렵다는 주장이다.현재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공석이다. 정지원 전 이사장이 손해보험협회장에 당선되며 갑작스럽게 자리를 비우게 돼서다.
정 전 이사장은 당초 손보협회장 하마평에 오른 인물도 아니었다. 손보협회 내부에서 조차 "증권쪽에서 협회장이 올 줄은 몰랐다"는 반응이다.
![]() |
손병두 금융위원회 전 부위원장은 한국거래소 이사장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사진=뉴스1DB |
금융위원회의 경우 이달 1일 도규상 전 경제정책비서관이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선임되고 손병두 부위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바로 다음날 정 전 이사장은 손보협회장 단독후보로 추대됐다.
업계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의 개입을 의심한다. 정 전 이사장이 물러나고 손 부위원장이 거래소 이사장으로 부임하는 '시나리오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증권업계의 또 다른 수장 자리인 금융투자협회장은 상대적으로 '관피아 논란'이 적다. 역대 5명의 회장들은 ▲황건호 초대 회장(대우증권 부사장) ▲박종수 2대 회장(우리투자증권 대표) ▲황영기 3대 회장(삼성증권 대표) ▲권용원 4대 회장(키움증권 대표) ▲나재철 5대 회장(대신증권 대표)으로 모두 민간 출신이다.
관피아 없는 금투협회장, 그 배경은?
역대 금투협회장에 관 출신보다 민간 출신이 득세한 이유는 금투협만의 회장 선출 과정, 증권업계의 개방적인 분위기 때문이다.금융투자협회는 지난 2009년 자본시장법이 제정되면서 증권협회, 자산운용협회, 선물협회 등이 합병된 곳이다. 2009년 이전에는 각각의 협회가 존재했다.
합병 전 증권협회는 3개의 협회 중 가장 규모가 커 이곳을 중심으로 조직이 운영됐다. 특히 증권협회는 합병되기 전 정관을 정비했고 회원사가 투표권을 갖는 1사1표를 도입했다. 투표 방식도 비밀투표다.
증권사들이 직접 회장을 선출할 수 있도록 모두에게 비밀투표권을 주자 사실상 관출신이 당선될 가능성이 낮아졌다. 외부에서 후보 도전 자체를 부담스러워 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자연스레 후보들은 증권사 사장들이 대부분이었다.
금융투자협회로 합병된 후 회장 투표는 회원사 규모에 따라 투표권을 차등 지급하는 차등의결제가 시행되고 있다. 현재 금투협 정회원은 증권사 57개사와 자산운용사 222개사, 선물회사 5개사, 부동산회사 12개사 등 총 290여개사다. 이중 투표권은 회비분담률에 따라 균등의결권(40%)과 차등의결권(60%)으로 나뉜다.
균등의결권을 가진 회사들은 1사 1표가 주어지며 규모가 큰 대형사의 경우 회비분담금 비중에 따라 투표권이 차등 배정된다. 차등의결제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모든 회원사가 투표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증권업을 대표할 만한 전문적 인사가 뽑힐 수밖에 없는 분위기다.
![]() |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사진=금융투자협회 |
나재철 회장이 뽑힐 당시에는 회원사 295개사 중 87%가 투표에 참여했다. 나 회장은 대신증권을 포함해 증권업만 35년에 달하는 대표적인 증권맨이다. 회원사들이 어떤 성향을 갖고 투표에 임하는지를 알 수 있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관에서 후보가 내려오더라도 민간출신이랑 붙어서 패배하면 본인 이미지만 훼손될 뿐이라 출마자체를 꺼리게 됐다"며 "또 금융투자 업무의 경우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 금융관료 출신이 와도 쉽게 적응하기 힘든 자리가 금융투자협회장"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업계가 은행이나 보험업권 보다 비교적 보수적이지 않고 자유로운 분위기인 것도 '관피아' 인사가 진행되지 않는 이유다. 증권업권 사장들의 마인드가 상당히 개방적이다 보니 오히려 정부발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면 거부감을 보인다는 것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거래소나 예탁원 등은 여전히 비전문적인 낙하산 인사가 내려와서 쉽게 쉽게 일할 수 있는 곳이란 인식이 있다"며 "수장을 뽑는 절차가 보다 투명해지지 않는 한 낙하산 인사가 계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