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국세청에서 국세 행정시스템 구축 계약식이 열렸다. /사진=LG CNS
자카르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국세청에서 국세 행정시스템 구축 계약식이 열렸다. /사진=LG CNS
LG CNS가 인도네시아 국세청 업무 시스템 전반을 개편하는 1000억원 규모 사업을 수주했다. 역대 전자정부 수출 사업 중에 시스템 구축 단일계약으로는 최대 규모다.

14일 LG CNS는 인도네시아 국세 행정시스템(CTAS) 구축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시스템 구축에 돌입해 2024년 말 완료할 예정으로, 인도네시아 4200만 납세자와 3만2000명의 세무공무원이 사용하게 된다.


인도네시아는 조세 행정 전반의 효율 제고를 목표로 이번 사업을 추진한다. 기존 국세 관련 시스템들을 통합하고 국가 재정정보 시스템과도 연계한다. 국세 주요 6대 기능(소득세·법인세·원천세·부가가치세·사치세·토지세)을 모두 구현할 예정이다.

LG CNS는 한국 국세청 국세 통합시스템, 현금영수증, 빅데이터 시스템 등을 구축하며 국세 시스템 분야 역량을 키워왔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 2007년 경찰청 시스템, 2015년 국가재정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며 신뢰를 쌓아왔다. 특히 인도네시아 재무부가 처음으로 수백억원 비용을 들여 추진한 국가재정정보시스템의 안정적인 구축·운영이 이번 국세시스템 사업 주주로도 이어졌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LG CNS의 이번 사업 수주에는 한국 국세청도 결정적 역할을 했다. 국세청은 2011년부터 총 9차례 청장급 회의를 가지며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에 총 7개 글로벌 컨소시엄이 경쟁 입찰에서 유일한 한국기업인 LG CNS를 초기부터 지원했으며, 한국 국세청장이 인도네시아 재무부장관에게 추천서를 보내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앞으로 국세청 직원들이 인도네시아에 조세 시스템 구축 경험을 전수하고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LG CNS와 인도네시아 재무부 간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SW)기업 해외 진출도 이뤄질 전망이다. LG CNS는 클라우드 솔루션, 데이터 관리·연계·추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중소SW기업 솔루션 활용 계획을 제안서에 포함시켰다.


현신균 LG CNS DTI사업부 부사장은 “이번 계약은 민간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쳐서 결과까지 이끌어낸 전자정부 수출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의미가 큰 만큼 같이 해외로 나가는 중소기업과도 잘 협업해 국내 IT서비스 기술역량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국세청 측은 “이번 수출성과는 차세대국세행정시스템(NTIS), 현금영수증, 전자세금계산서 등 국세청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온 ‘K-전자세정’의 우수성과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그간 ‘전자세정 수출지원 전담팀’를 통해 개도국 등에 전자세정 상담을 지원하고 자문·교육을 실시하는 등 수출 지원을 위한 지속적인 국세청의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