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CEO와의 통화에서 백신 2000만명분 공급에 합의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지난 29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CEO와의 통화에서 백신 2000만명분 공급에 합의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지난 29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뉴스1
백신 확보 전선에 직접 뛰어든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의 백신 2000만명분 조기 공급 합의를 이끌어냈다.

30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전날 브리핑에서 모더나의 스테판 반셀 최고경영자(CEO)와 화상통화를 갖고 2000만명분의 백신 공급에 합의했다.


이로써 정부는 당초 협상중이던 1000만명분보다 2배 수준 물량을 확보하게 됐다. 구매 물량 확대에 따라 구매 가격도 인하될 예정이다.

내년 3분기로 예정됐던 백신 공급시기는 2분기로 앞당겨졌다. 정부와 모더나는 공급 시기를 더 앞당기기 위한 추가 노력을 하기로 했다.


정부와 모더나는 문 대통령과 반셀 CEO의 합의에 따라 2000만명분 백신 공급 계약을 연내 체결할 계획이다.

현재 우리 정부가 계약을 완료한 백신은 ▲화이자1000만명분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분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1000만명분 ▲얀센 600만명분 등 총 3600만명분이다.


모더나 공급 계약이 연내 체결된다면 정부는 총 56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하게 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노바백스, 화이자 등과의 협상이 끝나면 물량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행보는 야당에서 제기하는 '백신 늦장확보 책임론'을 막는 동시에 백신 확보를 둘러싼 국민들의 불안감을 확실히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28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도 "우리나라가 백신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거나 접종이 늦어질 것이라는 염려가 일각에 있다"며 "우리는 당초의 방침에 따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이미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고 돌발 상황을 대비한 추가 물량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라고 진화에 나섰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반셀 CEO 사이에 백신 확보를 위한 통화가 이뤄진 과정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아직 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만큼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계약 체결을 앞둔 상황에서 물밑 협상 과정을 공개적으로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며 "이 부분은 계약 체결 이후에 정부 쪽에서 설명이 있지 않을까 한다"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