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가 중국과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 개발에 나선다. / 사진=뉴시스
산업부가 중국과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 개발에 나선다. / 사진=뉴시스

중국과 일본에 90% 이상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기술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 국내생산 시범사업’ 지원계획을 공고했다. 이 사업은 중소·중견 세라믹기업 등에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6개 과제 총 229억원의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것이다.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는 철강용 내화물, 전기차 배터리 방열필러 소재용으로 사용되고 국내 수요는 26만4000톤(약 1410억원)이다.

순도 93% 내외 저품위는 중국, 순도 98% 이상 고품위는 일본에서 수입하며 그 비중이 90%에 달한다. 2019년 기준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 수입액 1270억원 중 중국산이 980억원, 일본산이 200억원을 차지했다.


산업부는 국내 자원을 활용한 국내 생산기반 구축을 통해 그동안 원가경쟁력(중국), 기술경쟁력(일본) 열위로 수입에 의존했던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의 소재 공급 안정화와 철강, 화학, 환경 등 수요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마그네슘계 원재료 국내 공급 ▲마그네슘계 응용제품 개발 2개 분야로 지원된다.


국내 공급과 관련해선 백운석, 해(간)수, 폐내화물 등 국내 가용자원을 활용한 마그네슘계 원재료 생산 공정기술 개발 관련 신규 3과제에 과제당 5년간 최대 53억원을 지원한다. 올해에만 31억5000만원이 지원된다.

국내 생산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응용제품 개발과 관련해선 신규 1과제에 올해 9억5000만원을 비롯해 5년간 최대 47억원을 투입한다.


지원내용은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열계면 소재를 위한 고열전도도 MgO 필러 개발이다. 응용제품 개발은 세라믹원재료 기술개발이 진행된 2024년도부터 개발·제조된 원재료를 활용하는 2개 과제를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신규과제 수행기관은 평가를 거쳐 다음달 중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