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자들, 주식 투자 늘었다… "부동산 경기 전망 부정적"
이남의 기자
4,022
공유하기
![]() |
/자료=신한은행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측은 "부자들은 여유자금으로 주식에 투자했으며 대출을 받아 투자한 비중은 4%에 불과했다"며 "위험자산에 대한 부자들의 신중한 투자 성향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대체로 부정적인 경기 전망을 했다. 실물 경기의 경우 응답자의 61%, 부동산 경기는 52%가 앞으로 더 안 좋아질 것으로 응답했다.
이같은 경기 전망을 바탕으로 부자와 대중부유층 절반 이상은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전했다. 투자 자산을 확대하면서 자산 리밸런싱을 하는 것보다 '관망하겠다'는 태도가 더 우세한 것이다.
최근 5개년을 두고 봤을 때도 '현재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는 응답률은 올해 유독 높았다. '부동산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응답한 비율은 8%로 최근 5개년과 비교해 가장 낮았다.부자와 대중부유층은 대체로 부정적인 경기 전망을 했다. 실물 경기의 경우 응답자의 61%, 부동산 경기는 52%가 앞으로 더 안 좋아질 것으로 응답했다.
이같은 경기 전망을 바탕으로 부자와 대중부유층 절반 이상은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전했다. 투자 자산을 확대하면서 자산 리밸런싱을 하는 것보다 '관망하겠다'는 태도가 더 우세한 것이다.
자산구성을 변경한다면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특히 부동산 고액자산가(보유 부동산자산 50억원 이상)의 29%는 부동산 비중을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부동산자산에서 금융자산으로 리밸런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부자들과 대중부유층들은 자산 리밸런싱에 대한 관망세가 우세한 가운데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으로 관심이 옮겨온 경향이 있다"며 "단기금융상품과 예금의 비율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국내 및 해외주식, 지수연계상품, 주식형 펀드 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남의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금융팀 이남의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