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의 올해 하반기 실적 악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사진=뉴시스
보험사들의 올해 하반기 실적 악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사진=뉴시스
기업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할 때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한다. 올해 1분기 국내 보험사들은 놀라운 실적으로 웃어야 하지만 정작 속내는 그리 편치 않다. 보험 영업으로 벌어들인 수익보다 일회성 요인이 더 크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상황을 감지하고 잠재적 위험이 큰 보험사에 대한 집중 점검을 3분기 중 실시한다.

금융감독원이 26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에 따르면 보험사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3조87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4058억원(164.1%) 증가했다. 


생보사 순이익은 2조55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7764억원(228.3%) 늘었다. 금리·주가 상승에 따른 보증준비금 감소로 보험영업손익이 개선됐고, 삼성전자 특별배당 등으로 배당수익이 증가한 덕분이다. 

손보사도 1조31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94억원(91.5%) 증가했다. 코로나19 영향과 전년도 고액사고 기저효과로 손해율이 하락해 보험영업손익이 개선됐고, 배당수익도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보험료는 52조4921억원으로 전년 동기(50조6887억원) 대비 1조8034억원(3.6%) 늘었다. 생보사는 27조96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2056억원(4.5%) 증가했다. 손보사도 24조 52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78억원(2.5%) 늘었다.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8%와 11.19%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1%포인트, 6.62%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보증준비금 감소, 삼성전자 특별배당,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손해율 하락 등으로 크게 증가했다"며 "다만 이익 증가가 수익구조의 개선보다는 외부 요인과 일회성 이익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