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482명… 줄지 않는 수도권 확산세 '78%' 차지(종합)
김화평 기자
1,479
공유하기
![]() |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19일 0시 기준 482명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안내 받는 모습. /사진=뉴스1 |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는 50만7319명 늘어 누적 1476만8365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의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현황 5134만9116명 대비 28.8% 비율이다. 접종 완료자는 12만6036명 늘어 총 401만2571명으로 집계됐다. 전 국민 대비 7.8% 수준이다.
지역발생 456명, 해외유입 26명… 수도권 77.6% 차지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482명 증가한 15만720명을 기록했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456명으로 수도권에서 354명(서울 193명, 경기 141명, 인천 20명)이 발생했다. 전국 지역 확진자 대비 수도권 비중이 77.6% 수준이다.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만9106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만3645건(확진자 10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911건(확진자 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만6662건이다.
누적 사망자는 전일 대비 1명 늘어난 1997명을 기록했다. 치명률은 1.32%이다. 위중증 환자는 2명 증가한 151명, 격리해제자는 569명으로 누적 14만2385명(94.47%)을 기록했다. 격리치료 중인 환자는 88명 줄어든 633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97명(해외 4명) ▲경기 145명(해외 4명) ▲인천 22명(해외 2명) ▲부산 18명(해외 3명) ▲대구 13명 ▲충남 12명 ▲경남 11명 (해외1명) ▲충북 10명 ▲제주 7명 ▲대전·울산·강원·전북·전남 각 5명 ▲광주·경북 각 4명 ▲세종 2명 ▲검역 12명이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발생 추이는 6~19일까지(2주) '556→ 485→ 454→ 602→ 610→ 556→ 565→ 452→ 399→ 373→ 545→ 540→ 507→ 482명'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해외유입 사례를 제외한 지역발생 확진자 추이는 '541→ 454→ 435→ 581→ 593→ 541→ 525→ 419→ 360→ 347→ 522→ 523→ 484→ 456명'을 기록했다.
![]() |
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19일 0시 기준 누적 1997명을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17일 경북 경산시 예방접종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시민들이 대기 장소에서 휴식하며 몸 상태를 살피는 모습. /사진=뉴스1 |
1차 접종률 28.8%… 오늘 60~74세 대상 AZ백신 접종 완료
이날 0시 기준 신규 1차 접종자는 50만7319명 늘어 누적 1476만8365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의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현황 5134만9116명 대비 28.8% 비율이다.백신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1차 접종 누적 1018만4938명, 접종 완료자 82만2848명이다. 60~74세 대상으로 실시 중인 AZ백신 1차 접종은 19일까지 접종 완료된다.
화이자 백신은 1차 접종 348만5176명, 접종 완료자는 209만1472명이다. 지난 10~16일까지 예비군·민방위 대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 얀센 백신은 총 109만8251명이 맞아 접종률 96.2%를 기록했다. 현재 접종이 완료된 상황이다.
접종 뒤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례는 17일 0시부터 19일 0시까지 1만230건 늘어난 6만4003건을 기록했다. 이 중 6만761건(94.9%)은 예방 접종 뒤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두통· 발열·오한·메스꺼움 등 사례였다.
접종 뒤 사망 신고 사례는 29건 늘어난 290건을 기록했다. 아나필락시스(전신 중증 알레르기 반응) 의심 사례는 52건 늘어난 395건을 나타냈다. 이외 이상 반응 사례는 459건 늘어난 2557건이었다.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 반응 등 세 가지로 구분해 분류한다. 사망 위험성이 있는 중증 이상 반응은 아낙필락시스 쇼크로 분류하며 접종 뒤 30분 이내 급성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 경우를 말한다.
이상 반응 사례는 예방 접종 뒤 이상 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다.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 중증 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벌여 인과성을 평가한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