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소비자의 독일차 사랑…상반기 팔린 수입차 3대 중 1대는 벤츠
[머니S리포트-쏠림현상 더 심해진 수입차업계①]
박찬규 기자
5,777
공유하기
편집자주
최다 판매 기록을 세우며 승승장구하는 국내 수입차시장이지만 균형을 찾지 못해 불안한 모습이다. 특정 국가 특정 브랜드만 시장에서 주목받을 뿐 나머지 대부분은 큰 힘을 쓰지 못하는 분위기여서다. 그런 가운데 꾸준히 소비자와 소통하고 영역을 넓혀 판매 신기록을 세운 업체가 등장해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쏠림현상이 심해진 국내 수입차시장을 살펴봤다.
![]() |
올 상반기 국내 수입차시장은 유럽 브랜드 쏠림현상이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브랜드를 중심으로 세력을 키워온 유럽 브랜드가 2015년 ‘디젤게이트’로 휘청한 사이 일본 브랜드가 점유율을 빠르게 높였지만 2019년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현재 소비자의 관심은 오직 유럽 브랜드로만 향하는 상황이다. /사진제공=메르세데스-벤츠 |
한국에서 사랑받는 유럽차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판매된 수입차 10대 중 8대는 유럽 브랜드 차종이었으며 특히 독일 브랜드의 강세가 돋보였다. 유럽 브랜드 점유율은 2015년 80.9%에서 2016년 76.2%, 2017년 72.7%까지 하락했다가 2018년 74.5%, 2019년 75.2%로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해 80.5%로 2015년 수준으로 올라섰고 올 상반기엔 81.9%까지 상승하며 역대 최고 점유율을 기록했다.![]() |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판매된 수입차 10대 중 8대는 유럽 브랜드 차종이었으며 특히 독일 브랜드의 강세가 돋보였다. /그래픽=김영찬 기자, 자료=한국수입자동차협회 |
수입차업계는 2015년 폭스바겐 디젤게이트와 2019년 ‘노 재팬’ 불매운동이 이 같은 점유율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일본 브랜드의 판매량은 독일 브랜드 인기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업계에 따르면 하이브리드·가솔린 차종을 앞세운 일본 브랜드는 2015년 폭스바겐의 디젤차 배출가스 조작 사건 이후 고효율·친환경을 앞세운 최신 디젤차의 대안으로 인기였다. 수입차협회 통계를 살펴보면 일본 브랜드는 2015년 11.9%였던 점유율이 2016년 15.7%, 2017년 18.7%까지 치솟았다. 2018년엔 17.4%로 점유율은 낮아졌지만 판매량은 전년보다 1671대 늘었다.
하지만 2019년 일본 정부가 일방적으로 한국에 대해 무역 제재 조치를 취하면서 발생한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한국닛산이 철수를 결정하는 등 일본차 점유율은 2019년 15%에서 지난해 7.5%, 올 상반기에는 6.6%까지 하락했다.
그럼에도 일본차업계는 판매량이 회복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렉서스는 올 상반기 4868대 판매로 전년 대비 36.3% 증가했다. 토요타 (14.7%, 3217대), 혼다( 16.1%, 1687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차업계 관계자는 “계약 후 몇 달 동안 출고를 기다려야 하는 다른 브랜드와 달리 일본 브랜드는 재고가 충분해 주문 즉시 받을 수 있는 데다 최근 신차 출시로 제품 경쟁력도 확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미국 브랜드는 점유율을 착실히 높여왔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7~8%대에 머물렀지만 2019년 9.8%, 지난해 12.1%까지 증가했다. 올 상반기엔 11.5%를 기록하며 하반기 물량 확보에 따라 점유율이 더 올라갈 수도 있다.
![]() |
연도별 수입차 판매대수 /그래픽=김영찬 기자, 자료=한국수입자동차협회 |
하지만 두 국가의 브랜드를 합쳐도 시장의 5분의1가량에 불과하다. 나머지 5분의4는 유럽 브랜드의 차지다. 올 상반기 수입차는 총 14만7757대가 등록됐으며 그중 유럽 브랜드는 12만1020대로 전체의 81.9%를 차지했다. 그중 독일 브랜드가 10만3346대로 69.9%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유럽 브랜드는 10만990대로 점유율 78.8%였고 독일 브랜드는 8만3647대로 65.2% 비중을 차지했던 만큼 올해 성장세가 유독 돋보인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독일 브랜드의 강세는 특히 업계를 이끄는 메르세데스-벤츠와 BMW의 역할이 큰 상황”이라며 “두 브랜드의 합산 점유율은 무려 53.1%에 이른다”고 전했다.
수입차협회 집계에 따르면 업계 선두 메르세데스-벤츠의 올 상반기 점유율은 28.5%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3만6368대보다 16% 증가한 4만2170대를 기록했다. BMW는 자동차 화재 사고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리콜 사태를 잘 넘겼다. 그 결과 지난해보다 42.6%나 판매가 늘어 점유율 19.8%에서 24.5%(3만6261대)로 상승해 벤츠를 바짝 뒤쫓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는 판매 차종에서도 살필 수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수입차 판매 상위 10개 모델 중 메르세데스-벤츠 차종이 5종이었으며 ▲BMW 2종 ▲테슬라 2종 ▲아우디 1종 등이 뒤를 이었다.
차종별로는 쏠림현상 더 심해
![]() |
상반기 판매 1위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표 세단 E클래스다. 라이벌 BMW 5시리즈가 지난해 9338대보다 17.7% 늘어난 1만991대를 판매했음에도 E클래스는 1만4733대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1만4646대보다 소폭 상승했다.
테슬라는 보급형 차종인 모델3가 3위, 덩치를 키운 모델Y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모델3는 6275대로 지난해 6839대보다 8.2% 판매가 줄어든 반면 새로 출시된 모델Y는 5316대로 선전했다는 평가다. 4위는 아우디의 대표 세단 A6다. 지난해 상반기 4810대가 팔렸지만 올 상반기에는 5555대로 판매가 15.5% 증가했다.
상반기 판매 5위 차종은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고급 라인업인 S클래스로 4485대가 팔렸다. 지난해 3420대보다 31.1% 늘어난 수치다. 7위는 BMW 3시리즈로 4389대가 팔렸고 8위부터 10위까지는 모두 벤츠의 SUV 라인업(GLE-GLC-GLB 순)이 차지했다. 상반기 판매량이 소폭 회복된 렉서스의 주력 세단 ES는 3180대를 기록해 11위에 올랐다.
자동차업계에서는 판매 상위권을 유지하는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의 본격적인 경쟁에 주목한다. 업계 관계자는 “BMW는 올해 판매량을 크게 끌어올리기 위해 온라인 한정판 출시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며 “벤츠는 가격을 낮춘 엔트리급 모델 투입과 고객 접점 강화로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와 BMW 코리아에 따르면 회사는 각각 메르세데스-AMG, BMW M 등 별도 고성능 브랜드에 집중할 방침이다. 소비자가 브랜드를 직접 체험하면서 차별화된 감성을 직접 느끼도록 기회를 마련하겠다는 것. 이를 위해 서킷 체험주행과 고성능 모델 전용 공간 마련 등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입차업계에서는 쏠림현상이 이어질 경우를 우려한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사례를 되돌아보면 중심이 한쪽으로 쏠린 이후엔 반드시 부작용이 생겼다”며 “지나친 독일 브랜드 집중은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찬규 기자
자본시장과 기업을 취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