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이어 하나까지… '풍선효과'에 대출 갈아타기도 중단
박슬기 기자
1,480
공유하기
![]() |
KB국민은행에 이어 하나은행도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대환대출 신청을 중단한다. 사진은 서울시내 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들이 업무를 보는 모습./사진=뉴스1 |
6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전날 오후 6시부터 비대면 대출상품인 '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 대환 신규대출을 중단했다. 판매 재개일은 미정이다.
대환대출은 다른 은행에서 이미 받은 대출을 보다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으로 갈아타는 것을 말한다.
앞서 KB국민은행도 지난달 29일부터 신용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의 대환대출을 중단한 바 있다. 다른 은행의 대출을 갚는 조건으로 내주던 대출이었다.
은행권 대환대출 잇따라 중단… 왜?
이처럼 은행들이 대환대출을 잇따라 막는 것은 최근 들어 다른 은행에서 넘어오는 고객이 많아져서다. 한 은행이 대출을 중단하면 다른 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이다.금융당국이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에 나서는 상황에서 연간 증가율 목표치인 6%대를 맞추려면 은행별로 대출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KB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지난달말 기준 4.9%로 전월말보다 무려 1.3%포인트 뛰었다. 하나은행은 5.2%, 우리은행은 4%로 전월보다 0.6%포인트씩 상승했다. 다른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던 신한은행도 전월보다 0.7%포인트 상승한 3%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 8월24일부터 가계대출을 사실상 전면 중단한 NH농협은행만 유일하게 전월말대비 0.3%포인트 떨어진 7.3%를 기록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말 기준 702조8878억원으로 지난해말과 비교해 4.88% 늘었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한도는 얼마 남지 않았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70조1539억원으로 금융당국이 정한 증가율 목표치인 6%에 맞추려면 앞으로 5대 은행에서 나갈 수 있는 대출액은 총 7조5000억원에 그친다.
지난 9월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4조729억원인 점을 감안해 앞으로도 이같은 증가폭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마지막달인 12월에는 은행에서 대출을 집행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을 수 있다. 이에 은행들은 '막판 관리'에 주력해야 하는만큼 연말 대출절벽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의 안정적인 관리 차원에서 대환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의 안정적인 관리 차원에서 대환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슬기 기자
생활에 꼭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