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해외투자사업 과정에서 수조원대에 자산손상을 기록했다. 한국가스공사 본사 사옥 전경.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가 해외투자사업 과정에서 수조원대에 자산손상을 기록했다. 한국가스공사 본사 사옥 전경.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가 해외 투자사업에서 3조원이 넘는 자산손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스공사는 유가하락, 원유 생산 전망 등을 손상 이유로 제시했지만 무모한 투자사업 강행, 방만경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엄태영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5년 동안 한국가스공사에서 투자한 해외사업 가운데 11개 사업에서 약 3조8338억원의 자산손상을 기록했다.

2017년 한 해만 호주 GLNG 사업으로부터 1조2736억원의 피해를 입는 등 6개 사업에서 1조7304억원의 손상차손을 기록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에 1조49억원(5개 사업) ▲2018년 1031억원(2개 사업) ▲2019년 5337억원(2개 사업) ▲2020년 4617억원(3개 사업)의 손실을 기록했다. 

한국가스공사는 해외투자사업 자산손상 이유로 유가하락, 사업환경의 변화, 원유생산전망 하락 등을 제시했다. 

한국가스공사는 보유 자산에 손상징수가 발생하면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자산의 회수 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금액을 손상차손으로 회계처리하고 당기손익으로 재무제표에 반영하고 있다고 엄 의원은 설명했다.

엄 의원은 “예상 가능한 리스크가 있었음에도 무리하게 추진한 이라크 아카스와 만수리아, 사이프러스 탐사 사업과 부실한 경제성 전망으로 손실을 입은 인니 크롱마네 탐사 사업은 가스공사의 해외사업 신뢰도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가스공사가 유가하락, 사업 환경 변화, 원유생산전망 하락 등을 손실 사유로 밝혔지만 방만경영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체계적인 해외 투자 시스템을 구축해 사업 전망과 리스크 관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