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수소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수소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에너지 구조를 획기적으로 전환해 탄소중립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에 힘을 써야 한다는 취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구 노들섬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우리가 가야 할 방향성”이라며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획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 시대 핵심 에너지원인 수소를 생산·저장·운송·활용하는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국가 전체가 총력체제로 임해야 할 것”이라며 “각 부문별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기울이면서 흡수원을 확충하려는 노력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 보급에 더욱 속도를 내고 세계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높은 메탄 감축에도 힘을 쏟아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산림의 흡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도시 숲 가꾸기 등 신규 흡수원을 지속 확충해야 한다”며 “연안습지와 바다숲 조성, 갯벌 활용 등 해양 흡수능력을 높이는 노력도 강화해달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에너지 다소비행태도 바꿔야 한다”며 “국민들의 참여와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의식주가 탄소배출의 원천”이라며 “대중교통 이용, 플라스틱 줄이기, 나무 심기 등 작은 실천들이 모여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이 분야에 대한 재정 지원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관련 기술개발 투자를 늘리고 탄소중립시대를 이끌어 나갈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며 “탄소중립이라는 도전이 청년과 미래세대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