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빠른 금리인상 예고한 美 연준에… "한은, 올해 2%까지 올린다"
박슬기 기자
6,063
공유하기
![]()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압박을 거세게 받고 있다. 한은은 연말 기준금리를 1.75%는 물론 2.00%까지 올릴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사진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는 모습./사진=한국은행 |
이미 지난해 8월부터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인상했던 한국은행은 이같은 연준의 입장에 기준금리 인상 압박을 거세게 받는 모습이다. 한은은 연말 기준금리를 1.75%는 물론 2.00%까지 올릴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인플레이션 73차례나 언급한 美 FOMC
18일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연준이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는 '인플레이션' 단어가 총 73차례나 거론된다.대부분의 FOMC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기대한만큼 내려가지 않을 경우 현재 예상하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통화 완화정책을 제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대다수의 FOMC 위원들은 "2015년 (금리 인상)보다 더 빠른 속도로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높이는 것이 타당하다"고 평가했다. 느슨한 통화 정책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해야 한다는데 이들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에 연준은 오는 3월 15~16일 FOMC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선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번에 0.50%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하거나 올해 남은 7차례 FOMC에서 매회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FOMC 회의는 6주마다 열리는데 회의가 열릴 때마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오른다고 가정하면 현재 0.00~0.25%인 미국의 기준금리는 올해 말 1.75~2.00%까지 1.75%포인트 상승한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 이탈 우려로 미국 기준금리와 어느정도 격차를 벌려놓아야 하는 한은으로선 금리 인상 압박을 강하게 받는 모습이다. 현재 미국과 기준금리(0~0.25%) 격차는 1.00~1.25%까지 벌어진 상태다.
"한은, 연말 기준금리 2%로 상향"
하나금융투자는 올해 한은이 기준금리를 2.00%까지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17일 "2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하고 1~2명의 인상 소수의견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도 이 연구원은 "대선 이후 신임 한은 총재 결정까지 공백이 생길 수 있고 대선 후에는 신정부의 정책방향이 확인되기까지 상대적으로 신중한 통화정책이 요구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현 총재의 임기 내 마지막 회의인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말 예상되는 한은 기준금리는 높아진 국내외 물가상승룰과 잠재성장을 웃도는 경제성장을 고려해 2.00%라는게 이 연구원의 전망이다. 그는 "한은이 추정하는 중립 기준금리는 2.25~2.50%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이틀동안 9만명대를 이어가는 점은 한은으로선 부담이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 속에서 빠른 금리 인상은 경기회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민간소비는 개선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카드 승인액은 전년동기보다 13.8% 증가한 260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3분기 전년동기대비 카드 승인액 증가율이 각각 8.7%, 9.9%, 8.6%에 이르렀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파른 증가세다.
올해 말 예상되는 한은 기준금리는 높아진 국내외 물가상승룰과 잠재성장을 웃도는 경제성장을 고려해 2.00%라는게 이 연구원의 전망이다. 그는 "한은이 추정하는 중립 기준금리는 2.25~2.50%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이틀동안 9만명대를 이어가는 점은 한은으로선 부담이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 속에서 빠른 금리 인상은 경기회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민간소비는 개선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카드 승인액은 전년동기보다 13.8% 증가한 260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3분기 전년동기대비 카드 승인액 증가율이 각각 8.7%, 9.9%, 8.6%에 이르렀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파른 증가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슬기 기자
생활에 꼭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