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 미혼 청년 10명 중 8명은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다. 주택 구입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은 81.3%로 그렇지 않은 경우(74.6%)보다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의식이 더 강했다. /사진=뉴스1
무주택 미혼 청년 10명 중 8명은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다. 주택 구입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은 81.3%로 그렇지 않은 경우(74.6%)보다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의식이 더 강했다. /사진=뉴스1
20·30 미혼 무주택 청년 10명 중 8명은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이들 중 81.3%는 내 집 마련을 위해 ‘부모 찬스’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부모와 독립한 청년의 42.1%는 현재의 거처를 마련할 당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토연구원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 연구팀은 ‘20·30 미혼 청년의 주거 여건과 주거 인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취업·소득·사회적 건강·결혼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 만 20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청년 300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17~28일 인터넷을 통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 미혼 청년 약 3분의2는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독립한 청년 60.0%는 직장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부모 동거 청년은 직장인(36.9%) 학생(33.4%)이 대부분이었다.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의 낮은 소득 수준을 보인 청년은 43.2%에 달했다.

반면 부모와 독립한 청년은 대부분이 직장인(59.6%)으로 200만~300만원 수준의 소득을 가진 비율이 38.1%, 300만원 이상 22.2%로 나타났다. 독립 청년의 소득 수준이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에 비해 비교적 높았다. 부모로부터 독립한 비율은 34.2%, 동거 중인 비율은 65.8%로 나타났다.


독립한 미혼 청년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연립·다세대(36.5%) ▲아파트(25.3%) ▲오피스텔(17.5%) ▲단독주택(15.2%)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점유 형태는 보증부월세가 43.8%로 가장 많았고 ▲전세 31.1% ▲자가 14.6% ▲보증금 없는 월세 5.8% ▲무상 4.6%로 나타났다.

부모와 독립한 청년의 42.1%는 현재의 거처를 마련할 당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에게 받은 경제적 지원은 ▲임차보증금(60.5%) ▲초기 월세(19.2%) ▲자가주택 구입 자금(16.2%) 순이었다. 지원 규모는 월세 보증금의 60.9%, 전세보증금의 45.3%, 자가주택 가격의 45.1%로 조사됐다.


아울러 무주택 미혼 청년 10명 가운데 8명은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욕구가 있었다. 다만 주택 소유에 대한 인식과 미래 주택 소유 가능성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 여부와 기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무주택 미혼 청년 가운데 77.0%는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고 답했다.

주택 구입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은 81.3%로 그렇지 않은 경우(74.6%)보다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의식이 더 강했다. 주택 소유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무주택 청년 가운데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57.9%)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지 않는 청년(41.4%)에 비해 미래 주택소유 가능성을 더 높게 예상했다.


주택 소유가 불가능할 경우의 선택지로 일반 전·월세 공공임대가 약 6대4의 비율로 나타나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한 여부가 됐다. 이들이 생각하는 공공임대주택의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주거비’(66.5%)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계약기간이 길어 안정적 거주 가능’(17.9%) ‘임차보증금 보호 등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8.1%) 등의 순이었다.

반면 공공임대주택의 단점으로는 ‘입주자격 제한으로 입주하기 어려움’(27.9%), ‘공급이 너무 적어 경쟁률이 높음’(27.1%) ‘주변환경이 좋지 않거나 면적 등 선택이 제한적’(22.5%) ‘민간임대보다 품질이 나쁘고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21.7%) 등으로 응답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부모의 지원이 가능한 청년과 아닌 청년의 출발점 차이가 독립하는 시점과 내 집 마련 시점에 걸쳐 누적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며 “부모 도움 없이 적정 주거를 마련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