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잿값 급등에 수입물가 껑충… 무역적자 확대 우려
이한듬 기자
1,012
공유하기
![]() |
수입물가가 수출물가를 역전하면서 무역적자 확대가 우려된다. / 사진=뉴시스 |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1월 수입물가 상승률은 19.6%로 2021년 연간 상승률(21.1%)에 비해 오히려 낮았다면서 수입물가 상승 그 자체보다는 수입물가 상승률과 수출물가 상승률 간 격차 확대를 최근 무역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24일 지적했다.
1월에는 수출물가 상승률(전년동월대비)이 12.4%를 기록하면서 수출입 물가상승률 격차(수입물가지수 증가율 – 수출물가지수 증가율)가 7.2%포인트로 2021년(3.4%포인트)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한경연은 "지난해에는 수입물가가 크게 올랐음에도 수출물가도 함께 오르며 무역수지 흑자가 유지된 반면 올해에는 수출물가에 비해 수입물가가 더 크게 오르며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올해 1월 수입물량도 전년동기대비 15.5% 증가한데 비해 수출물량은 8.6% 증가에 그쳐 무역수지 적자 폭이 더욱 확대됐다. 반면 2021년에는 수출입 물량 간 증가율 격차(1.6%포인트)가 올해 1월만큼 크지 않았다.
수입물가와 수출물가의 상승률 격차가 커질수록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입물가와 수출물가 상승률 격차가 12.6%포인트에 달했던 2008년은 2000년대 중 유일하게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한경연은 올해 무역적자 여부와 규모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로 최대 수출입 품목인 반도체와 원유가격을 지목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제 정세 불안으로 원유가격은 연초 전망을 뛰어넘어 배럴 당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반면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2021년 10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올해 1월에는 전월대비 6.7%나 하락했다. 한경연은 여러 기관에서 올해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을 전망하고 있어 반도체 수출가격의 빠른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태규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미국 금리 인상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이어져 자본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도 있다”며 “대외신인도 하락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재정건전성 확보, 투자여건 개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등 경제 펀더멘털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