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처지는 한국 자율주행… “데이터 세계수준 미달, 관련기업 육성 시급”
김창성 기자
5,178
공유하기
![]() |
국내 자율주행차 관련 데이터 축적 규모가 세계 수준에 미치지 못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
16일 자동차산업연합회(KAIA)에 따르면 전날 온라인을 통해 ‘자율주행차 산업현황과 발전과제’를 주제로 제2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열었다.
정만기 협회 회장은 “2030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규모가 6565억 달러로 2020년 70억 달러 대비 약 93배 대폭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이지만 전기차에 비해 자율주행차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율주행 시범서비스 등을 통한 국내 기업들의 상용화 수준도 해외 주요업체 대비 많이 뒤쳐져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짚었다.
조창성 자동차산업협회 스마트안전실 실장은 ‘자율주행차 시장동향 및 시장활성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조 실장은 “자율주행차 시장은 택시·버스·무인상용차 등 대중교통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해당 운송수단의 상용화는 다양한 시범서비스의 경험 축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로보택시는 글로벌 운행대수가 2021년 617대에서 2030년 144만5822대로 연평균 약 137% 수준의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주요 플레이어로는 미국 웨이모, GM크루즈, 독일 렌터카업체 Sixt(모빌아이 연합), 중국 바이두가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출시를 계획하면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데이터와 경험 축적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만 국내 자율주행 산업은 미국, 중국 등 기술 선도국과 비교할 때 기술 수준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조 실장은 “미국, 중국의 업체는 무인 시범운행중인 반면 한국은 대부분의 시범운행에서 보조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다”며 “주요국은 시범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내에서 자유롭게 운행 경로를 설정해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지만 국내 업체들은 시범구역 지역 내 특정 노선에 따라서만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론자로 나선 유시복 한국자동차연구원 센터장은 “자율주행 레벨4가 산업화되려면 안정된 레벨4 기술개발이 필요하고 자율주행 기업들이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관련 기업들이 수익성 있는 사업으로 진입하기까지는 기술적, 재정적 데드벨리의 통과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 데드벨리의 무사통과를 위해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육성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정광복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사무국장은 “국내도 빠른 기술발전이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레벨3 수준에 불과하다”며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에는 긴 시간이 소요돼 우선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의 확대가 필요하며 시범운행지구 내 국민안전을 위한 명확한 관리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