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오는 2025년 자율형 사립고, 외국어고, 국제고를 폐지하는 방안을 재검토하겠다는 방침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혔다. 사진은 유 부총리가 지난 27일 세종청사에서 열린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3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1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오는 2025년 자율형 사립고, 외국어고, 국제고를 폐지하는 방안을 재검토하겠다는 방침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혔다. 사진은 유 부총리가 지난 27일 세종청사에서 열린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3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1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오는 2025년 자율형 사립고, 외국어고, 국제고를 폐지하는 방안을 재검토하겠다는 방침에 대해 '과거로 돌아가는 방식'이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유 부총리는 지난 27일 세종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고교학점제는 학교교육을 질적으로 바꾸는 전환점이 되는 정책"이라며 "이러한 학교의 변화를 뒷받침하도록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2022개정 교육과정 개편, 고교체제 개편, 학교 공간 혁신이 추진 중이고, 이 모든 변화는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가 자사고·외고·국제고 존치를 검토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래세대 하나하나의 역량을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하면 과거와 같이 서열화된 대학에 들어가기 위한 경쟁 중심의 고입제도는 지속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다음 정부에서도 일부 주장은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우리 교육이 어떻게 미래교육으로 나아가야 할지 본다면 곧바로 과거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교육부 장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가장 큰 성과로 '미래를 여는 교육,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을 꼽았다. 유 부총리는 "추상적 언어로 부유하는 '미래교육'이라는 말을 구체적 정책과 제도로 만들어가는 역할을 하고자 했다"며 "그런 점에서 고교학점제는 우리 교육의 화학적 변화를 가져올 확실한 매개가 될 수 있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입시 공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유 부총리는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고 정책이 적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대입에 대한 공정성 문제, 입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입시 의혹에 대해 교육부 한 부처가 아니라 조금 더 종합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기구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