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위해성평가정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위해성평가정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위해성평가에 대한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식약처는 지난 1월28일 시행된 인체적용제품의 위해성평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위해성평가 심의를 위한 위해성평가정책위원회(위원회)를 구성했다고 3일 밝혔다.


위원회는 외부 전문가 12명과 관련부처 공무원 8명 등 20명으로 구성된다. 유해물질 위해성평가를 체계적?효율적으로 심의하기 위해 학계와 관련 부처가 협력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위원회에서는 인체적용제품의 ▲위해성평가 기본계획의 수립?시행 ▲위해성평가의 대상 선정 ▲위해성평가 방법 ▲일시적 금지조치 ▲인체노출 종합안전기준 ▲소비자등의 위해성평가 요청 등 위해성평가 정책 전반에 대해 심의한다. 위원회의 심의사항을 사전에 전문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분야별로 8개 전문위원회도 운영한다.

식약처는 이번 회의에서 '제1차 위해성평가 기본계획안 수립 방향'을 위원회에 보고하고 계획안이 마련되면 관계부처 협의와 위원회 심의를 거쳐 올해 안에 최종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번 1차 기본계획안에는 인체적용제품의 유해물질 위해성평가를 위한 기본 목표?방향, 연구?기술개발과 국제협력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김진석 위원장은 "우리 국민이 많이 섭취·사용하는 제품에 포함돼 위해 우려가 크거나 위해성 평가가 시급한 유해물질 등을 체계적으로 위해성을 평가할 계획이다"라며 "새 정부도 건강위해요인 통합 평가·관리체계 확립을 국정과제로 보고 있는 만큼 앞으로 통합 평가체계를 확립해 나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를 비롯해 학계 전문가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