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노력으로 만든 누리호, 강대국 눈치 안 보는 '우주 독립' 실현
양진원 기자
3,470
공유하기
|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지난 21일 천신만고 끝에 멋지게 우주로 날아올랐다. 우리나라는 이번 발사를 계기로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7번째 나라가 됐다.
현재 자력 발사 능력 보유국은 ▲러시아▲미국 ▲프랑스 ▲중국 ▲일본 ▲인도 ▲이스라엘 ▲이란 ▲북한 등 9개 국가다. 이 중에서도 실용급(무게 1000㎏ 이상) 위성 발사가 가능한 국가는 이스라엘, 이란, 북한을 제외한 6개국뿐이다. 누리호가 이날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1500㎏급 실용 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에 수송할 수 있는 국가가 됐다.
누리호 발사 성공에는 약 30년에 걸친 노력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1990년 KSR-1호 개발을 시작으로 '우주 진출의 문'을 꾸준히 두드렸지만 발사체 기술은 국가 간 기술이전이 제한돼 많은 시간과 개발 비용 등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2013년 발사된 '나로호'는 러시아의 기술협력을 받아 온전한 우리 기술이 아니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6~7위권의 인공위성 개발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지만 발사 일정은 우주 강국의 눈치를 봐야만 했다.
실제로 지난 2006년 러시아 발사체 '로콧'에 실려 러시아 플레체스크 발사장에서 쏘아 올려진 '아리랑 2호' 위성은 당초 중국 창정 로켓을 이용하려 했으나 기술 유출 우려를 표한 미국 때문에 러시아 로켓으로 노선을 변경했다.
이후 발사된 아리랑 5호, 과학기술위성 3호 등도 발사체 계약을 맺고 발사를 대행하기로 했던 러시아가 당초 계약보다 더 많은 비용을 요구하면서 예정 발사일이 줄줄이 연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누리호 2차 발사 대성공으로 더 이상 이 같은 설움은 없을 전망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국가 우주개발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누리호의 ▲설계 ▲제작 ▲시험▲발사 운용 등 모든 과정을 국내 기술로 진행해 발사체의 핵심기술을 확보해 '우주 독립'의 염원을 이룬 셈이다.
이날 오후 4시에 발사된 누리호는 함께 싣고 나간 인공위성 5기 중 'AP위성'에서 개발한 '성능 검증 위성'을 목표궤도(700㎞)에 올려 놓는 데 성공했다. 이후에는 국내 4개 대학(조선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카이스트)이 개발한 '큐브 위성' 4기가 지구 궤도를 돌며 첨단 우주 기술을 시험한다.
4개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 위성은 성능검증위성에 실려 우주로 나갔다가 23일부터 29일까지 4차례에 걸쳐 성능검증위성에서 분리돼 제각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정부와 연구진은 이번에 증명한 인공위성 궤도 수송 능력을 고도화하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4차례의 추가 발사에 나설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양진원 기자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