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SK어스온,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GS에너지 등이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와 함께 탄소 포집-운송-저장 사업에 나선다. 사진은 각 사 관계자 모습.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SK에너지, SK어스온,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GS에너지 등이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와 함께 탄소 포집-운송-저장 사업에 나선다. 사진은 각 사 관계자 모습.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국내 주요 기업들이 말레이시아 국영에너지기업 페트로나스와 함께 국경을 초월한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에 나선다.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SK에너지, SK어스온, 롯데케미칼, GS에너지,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등 7개사는 한국-말레이시아 간 탄소 포집-운송-저장사업인 셰퍼드CCS 프로젝트 개발 공동협력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국내 허브(Hub)에 집결시킨 후 말레이시아로 이송 및 저장하는 사업이다. 참여사들은 말레이시아 현지 저장소 탐색부터 국내 탄소의 포집-이송-저장에 이르는 CCS 밸류체인의 전주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참여사들은 먼저 타당성조사에 착수, 사업성을 검증하고 본격 사업개발로 이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아시아 최초의 CCS 허브 프로젝트로 밸류체인 전체를 한번에 개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과 기업별 탄소 감축을 위해서는 오는 2030년 이전부터 탄소 포집과 저장이 이뤄져야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허브를 통해 여러 기업이 배출한 탄소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고 국가 탄소관리 차원에서도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각 부문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글로벌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국경을 초월해 손을 맞잡은 것도 주목된다. 국내에는 탄소저장공간이 부족해 해외저장소 확보가 필요하다. 말레이시아는 세계적인 규모의 저장 용량과 한국과의 지리적 접근성을 고려했을 때 최적의 입지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각 사는 기술력과 전문성(▲사업개발주관 및 허브: 삼성엔지니어링 ▲탄소포집 및 허브: SK에너지, 롯데케미칼, GS에너지 ▲이송: 삼성중공업 ▲저장소 탐색 및 선정, 운영: SK어스온, 페트로나스)을 바탕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김진모 삼성중공업 글로벌신사업팀장은 "셰퍼드 CCS 프로젝트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해상운송수단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안정적인 이산화탄소 운송능력을 갖춘 선박 건조 및 설계·시공·조달(EPC) 역량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성공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