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대한민국 방위산업전시회에 참가한다. 사진은 KAI 부스를 방문해 사업 소개를 듣고 있는 슬로바키아 야로슬라프 나드 국방부장관(오른쪽)과 KAI 강구영 사장(가운데)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대한민국 방위산업전시회에 참가한다. 사진은 KAI 부스를 방문해 사업 소개를 듣고 있는 슬로바키아 야로슬라프 나드 국방부장관(오른쪽)과 KAI 강구영 사장(가운데)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가 특수작전에 활용될 소형 다목적 헬기와 노후한 수송기를 대체할 국산 다목적 수송기 그리고 함재기인 KF-21N을 공개한다.


21일 KAI에 따르면 이날부터 오는 25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22 대한민국 방위산업전'(DX Korea)에 참가해 미래전 핵심이 될 회전익, 고정익, 도심항공교통(UAM)을 전시한다.

회전익기로는 2023년 전력화 예정인 소형무장헬기(LAH) 실물기를 전시하고 유무인복합체계(MUMT) 운영안에 대해 소개한다. 특히 LAH를 기반으로 개조된 소형다목적헬기(LUH)도 공개한다.


LUH는 LAH에서 일부 형상을 개조, 특수 임무 장비 장착을 통해 새로운 작전 운영 구현이 가능하다. LUH는 무장·비무장 형상으로 개발되며 지휘관이 탑승해 현장을 지휘하는 지휘통제기와, 특수임무부대 인원을 신속하게 수송하는 특수작전공격헬기, 장착된 무인기를 통해 작전지역을 탐지·정찰하여 작전반경과 생존 가능성을 강화하는 정찰기 등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LAH는 육군의 노후 공격헬기인 500MD와 AH-1S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국산 헬기다. 항공타격작전 임무 수행을 위해 수 킬로미터 거리에서도 적 전차를 제압할 수 있는 공대지유도탄을 비롯해 20mm 터렛건과 70mm 로켓탄을 운용한다.


고정익기 모델로는 이번에 최초 공개되는 한국형 다목적 수송기와 KF-21N 함재기 모형 그리고 민군 겸용 플랫폼으로 자체 개발할 수직 이착륙 비행체 UAM 형상, FA-50 성능개량형 모델이 전시된다.

강구영 KAI 사장은 "자주국방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고부가가치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올해 DX Korea는 KAI의 신성장동력을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