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송치형 두나무 회장 "겨울 지나고 블록체인이 일상인 세상 올 것"

부산=양진원 기자VIEW 3,7192022.09.22 11:16

글자크기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22일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2' 개회사를 통해 블록체인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양진원 기자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22일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2' 개회사를 통해 블록체인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양진원 기자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2' 오프닝 스테이지에서 가상자산 시장이 현재는 어렵지만 향후 블록체인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치형 회장은 22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UDC 2022' 개회사를 통해 "크립토 윈터(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시장에서 자금의 유출이 지속되는 현상)는 미래에 지나갈 것"이라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메신저보다 지갑이 더 익숙하고 토큰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을 관리하는 것이 일상인 '블록체인 시대'가 온다"고 말했다.

송 회장은 "'크립토 윈터'를 이겨낼 무기는 블록체인 상품과 서비스 발전"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하락장을 '크립토 윈터'라는 단어로 많이들 표현한다"면서 "UDC를 처음 시작했던 2018년 9월에도 우리는 이와 비슷한 고민을 했다"고 전했다. 이어 "하지만 그때부터 이미 탈중앙화금융(DeFi)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등이 생겨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당시 3년 동안의 긴 침체기를 넘어선 원동력은 DeFi, NFT, 돈 버는 게임(P2E) 등 각각의 분야에서 나타난 실제로 작동하는 상품과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송 회장은 이번에 다시 찾아온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블록체인 상품과 서비스를 통한 검증에 신경써야 된다고 말했다.

송 회장은 현재 상황을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다행히 목표가 높아진 만큼 블록체인 서비스 환경은 2018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이 좋아졌다"면서 "이더리움 머지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확장성 향상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고, 완성도 높은 레이어 1·2 체인들이 하나씩 나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용성 및 접근성 역시 많이 개선되는 중이며 서비스 개발 환경도 이전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송 회장은 "토큰의 개념이 NFT로 확장되고 있다"면서 "초기 금융 및 핀테크 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 프로젝트 참여가 브랜드, 커머스, 콘텐츠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송 회장은 두나무 블록체인 사업의 방향성을 소개했다. 그는 "디지털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는 투자자 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우선 올 한해동안 트래블룰 대응을 위해 Verify VASP 서비스를 적용하겠다"면서 "현재 국내 21개, 해외 12개 거래소 및 주요 지갑과의 연동을 통해 안전한 입출금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컴플라이언스 조직을 강화하여 전년 동기 대비 3배 수준으로 확대해가고 있다"면서 "그 외에도 업비트 투자자 보호센터를 통해 지속적인 이벤트 및 콘텐츠를 배포하여 투자자 보호를 위해 노력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업비트 NFT의 성과도 강조했다. 그는 "엄격한 저작권 관리와 KYC 프로세스에도 불구하고 순수미술 중심의 국내 최대 NFT 거래소로 자리잡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KBO와 함께 크볼렉트라는 NFT 컬렉션을 런칭하면서 새로운 고객 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컬렉션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