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배추가 따로 없네" 생산자물가 1년10개월만에 하락 전환

박슬기 기자VIEW 1,6202022.09.23 08:39

글자크기

8월 생산자물가가 1년10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배추를 고르는 모습./사진=뉴스1
8월 생산자물가가 1년10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배추를 고르는 모습./사진=뉴스1
국제유가가 떨어지면서 8월 생산자물가가 1년10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석탄·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공산품 가격이 내린 영향이 컸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12(2015년=100기준)로 전월대비 0.3% 하락했다. 전월까지 역대 최고치를 찍었지만 하락 전환한 것이다. 2020년 10월 0.4%로 하락한 이후 1년 10개월만에 처음으로 떨어진 것이다.

다만 전년동월대비로는 8.4% 올라 21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이에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는 전월대비 0.3% 하락한 반면 전년동월대비로는 5.7% 상승했다. 전월대비 식료품은 1.3%, 신선식품은 5.5% 올랐다. 에너지와 IT는 전월대비 각각 1.3%, 0.2%씩 하락했다.

농림수산품 물가의 경우 수산물이 0.5% 내렸지만 농산물과 축산물이 각각 3.8%, 2.1%씩 올라 전월대비 2.5% 상승했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이 8.6%, 화학제품이 2.4% 하락해 전월대비 1.4% 떨어졌다.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와 금융 및 보험서비스는 각각 0.9%씩 올라 서비스는 전월대비 0.3%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도시가스(14.1%)를 중심으로 올라 전월대비 3.6% 올랐다.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 가운데 배추는 32.1%, 시금치는 31.9% 등 가격이 크게 뛰었다.

공산품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경유가 8,2%, 나프타가 10.8% 내렸다. 서비스는 여름 휴가철 성수기 영향으로 국내 항공여객이 11.4% 올랐다.

8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5.8%)와 중간재(-0.7%), 최종재(-0.1%)가 모두 하락해 전월 대비 1.0%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2.3% 상승했다.

국내 출하와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총산출 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6%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0.0% 올랐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