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서울·인천 일대 찍은 사진 공개… "정찰위성 중요시험 진행"
박정경 기자
55,829
공유하기
|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 시험을 진행했다. 북한은 내년 4월쯤 '군 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전망이다. 다만 지난 18일 발사한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에 대해선 아무런 입장을 표하지 않았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이번(정찰위성 개발) 중요시험은 국가우주개발국의 주도로 위성촬영 및 자료전송계통과 지상관제체계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기본목적을 두었다"며 향후 군 정찰위성에 장착할 촬영 기구로 찍은 서울과 인천 일대 사진을 공개했다. 이어 "시험을 위해 국가우주개발국은 20m분해능 시험용 전색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다스펙트럼) 촬영기 2대, 영상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들, 조종장치와 축전지 등을 설치한 '위성 시험품'을 운반체에 탑재했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고도 500㎞까지 운반체를 고각 발사시킨 후 우주환경을 모의한 최적한 환경에서 각종 촬영장비에 대한 촬영조종지령과 자세조종지령을 비롯한 지상관제의 믿음성을 확증하면서 자료 전송장치들의 처리 능력과 안전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시험을 통해 우주환경 조건에서 촬영기 운용기술, 통신장치들의 자료 처리 및 전송 능력, 지상관제체계의 추적 및 조종 정확성을 비롯한 중요 기술적 지표들을 확인했다"며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관문 공정을 거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문은 "국가우주개발국은 내년 4월까지 군사 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전하며 전날 북한이 MRBM 발사와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북한은 전날 오전 11시13분부터 낮 12시5분까지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2발의 MRBM을 발사했다.
이를 두고 당시 합동참모본부는 "고각으로 발사돼 약 500㎞ 가까이 비행한 후 동해상에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중대한 도발 행위이고 유엔 안보리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며 "이를 강력히 규탄하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