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초청 만찬에 앞서 김기현 신임 당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3.13/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초청 만찬에 앞서 김기현 신임 당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3.13/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한 달에 두 번 정기적으로 만나기로 하면서 구체적인 일정이나 배석 인원 등에 관심이 모인다.


22일 여권에 따르면 지난 13일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간 만찬에서 월 2회 대통령-당대표 정례 회동을 진행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과거 사례를 참고할 때 격주로 특정 요일을 정해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김 대표 측 관계자는 "월2회 정례 회동이므로 요일을 정해 격주식으로 만날 것 같다"며 "날짜도 대통령과 대표가 직접 정할 듯하다"고 했다. 이어 "공개 행사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마음을 끌 수 있는 의제를 만들어야 하고, 대통령과 여당 대표가 만나면 결과물이 나와야 하기에 급하게 서둘러서 될 것 같진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주례 회동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990년 5월 노태우 대통령과 김영삼 민주자유당(민자당) 대표 회동 때부터다.


당시 내각제 각서 파동으로 노 대통령과 김 대표의 갈등이 극에 달했을 때다.

김영삼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노 대통령과 내가 매주 한 차례 만나는 주례 회동은 각서 파동을 수습하면서 마련한 장치다. 서로 만나지 않으니까 작은 문제에도 오해가 생기고 틈이 넓어진다. 자주 만나는 것이 문제를 없앤다는 취지에서 주례 회동을 마련했다"고 회상했다.


이후 1993년 2월 청와대에 들어간 김영삼 대통령은 2인자 시절 도입했던 대통령과 당대표 간 주례 회동을 이어갔다. 정권 초반 양측의 만남은 통상 매주 목요일 배석자 없이 30분간 진행됐다. 이후에는 사무총장·정책위의장·원내총무(원내대표) 등 당3역 및 대변인까지 배석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주례 회동은 노무현 정부 들어 폐지됐다. 대통령이 당무에 지나치게 개입한다는 부정적인 시선 때문이었다. 노 대통령은 당 총재직을 맡지 않았고, 당직 인선과 공천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17대 총선이 끝난 뒤 열린우리당은 대통령과의 면대면 정례 회동을 요구했지만 노 대통령은 거부했다.

그러다 이명박 대통령 때 주례 회동이 부활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2008년 4월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와 정례 회동을 시작했다. 격주로 해서 주례 회동이 아닌 정례 회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책임정치를 구현하고 정책 협의를 강화하기 위한 취지였다. 정례 회동에는 당대표 비서실장과 대변인,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무수석, 대변인이 배석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선 대통령과 당대표 간 정례 회동 명맥이 끊겼다. 문재인 정부도 당정청 일체를 강조했지만 별도의 정례 회동을 하진 않았다.

다만 총리와의 회동은 종종 있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해찬 총리와 주례 회동을 통해 정부 정책의 큰 방향을 정하고 주요 문제가 있을 때마다 수시로 논의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낙연 총리와 매주 월요일 오찬을 겸한 주례 회동을 하며 주요 국정현안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했다.

전례를 비춰봤을 때 윤석열 정부가 김영삼(YS)·이명박(MB) 정부 대통령-당대표 정례 회동이나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대통령-총리 정례 회동을 벤치마킹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정당을 이끌면서 현장에 있는 사람들과 꾸준하게 소통하는, 가장 민심에 가까이 있는 대표가 한 달에 두 번 정도 만나서 그 얘길 건넨다는 건 꽤 이례적인 일"이라며 "저간에 있는 얘기들을 대통령에게 가감없이 전달하고, 또 대통령은 한일정상회담 등 외교적인 문제들, 내각의 좀더 내밀한 상황들을 공유하는 것이라 정례화가 잘만 이뤄지면 큰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