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이 2달여만에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했다. 사진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회원들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중구 시청역 승강장에서 서울시 활동지원 표적조사 거부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이 2달여만에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했다. 사진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회원들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중구 시청역 승강장에서 서울시 활동지원 표적조사 거부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지하철 탑승 시위를 예고한 가운데 서울시가 강경대응 입장을 밝혔다.

23일 박경석 전장연 공동상임대표는 이날 오전 8시15분쯤부터 1호선 시청역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자회견을 마치면 시청역 1호선을 중심으로 탑승해서 선전전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대표는 "서울시가 탈시설 장애인을 지원하는 많은 단체가 있음에도 우리 회원단체만 골라서 전수조사를 했다"며 "지하철행동에 참여하는 단체를 중심으로 갑작스럽게 하루 전에 공문을 보내 4년치 자료를 준비해 심사받으라고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오늘부터 출근길에 탑승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전장연 죽이기를 멈출 것을 촉구하겠다"고 선언했다.


전장연은 서울시의 행정조치 등에 반발하며 이에 대한 의사표시로 1호선 탑승시위를 계획 중이다. 1호선 탑승 시도가 이뤄질 경우 열차 운행이 다소 지연될 전망이다.

이에 서울시는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는 이날 "지하철 운행 방해는 형법상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는 중대범죄"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하철은 시민들의 생계를 위한 필수 이동수단인 만큼 그 어떤 경우에도 정시 운영을 지켜야 한다"며 "지하철 운행을 방해하는 어떤 시도에 대해서도 '무관용' 원칙에 기반해 엄단조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지난 13일부터 3주 동안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추가 지원 급여를 받는 장애인 3475명을 상대로 수급자의 급여 적정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중증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일상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전장연은 서울시의 해당 조사가 장애인에 대한 '표적조사'라며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