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

'황금알' 낳던 주택사업, 건설 '빅3'도 수주 목표 낮췄다

[머니S리포트 - 10대 건설 신사업 러시(3)] PF 대출 조건 악화에 대안 급부상

김노향 기자VIEW 11,6372023.03.26 07:20

글자크기

2021년 DL이앤씨(전 대림산업)와 SK에코플랜트(전 SK건설)에 이어 포스코건설도 '포스코이앤씨'로 사명을 바꿨다. 2년 만에 국내 10대 건설기업 3곳이 이름을 바꿔 새 출발했다. 포스코건설의 이앤씨(E&C)는 일반적인 설계&건축(Engineering & Construction) 의미가 아닌 '환경'(Eco)과 '도전'(Challenge)의 뜻을 담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전통의 건설업과 주택사업만으로 생존이 어려워진 건설업체들은 개발·운영을 넘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를 따라 친환경 관련 신사업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올해는 고금리와 부동산 침체 영향으로 비주택사업에 대한 시도가 더욱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친환경 에너지·폐기물 관리 등 신사업은 길게는 20~30년 장기투자가 지속돼야 하고 주택사업 대비 수익성이 낮아 실적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SK에코플랜트가 해외 업체에 지분 투자를 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산업의 경우 회사가 밝힌 관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27년 후인 2050년 6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기후위기 대응과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의 확산에 따라 주요 건설업체들이 신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물산 건설부문
기후위기 대응과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의 확산에 따라 주요 건설업체들이 신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사 게재 순서

(1) 폐기물 관리·에너지 개발… 환경사업 뛰어든 SK에코·GS건설

(2) 포스코 '건설'에서 'E&C'로… 정체성 바꾸는 건설업체들

(3) '황금알' 낳던 주택사업, 건설 '빅3'도 수주 목표 낮췄다

주요 건설업체들이 신사업에 속속 뛰어든 이유는 기후위기 대응과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라는 표면적 이유도 있지만 최근 경기변동에 따른 주택사업 리스크의 부상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회피가 심화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건설산업의 암울한 현실은 대형건설업체의 수주 전망에서도 나타났다.

국내 시공능력평가 톱3 업체인 삼성물산, 현대건설, DL이앤씨 등은 부동산 침체 상황을 고려해 전년 대비 낮은 수주 목표를 세웠다. 업계 1위 삼성물산은 올해 국내 신규수주 목표를 7조9000억원으로 설정해 전년(11조5000억원) 대비 31.3%나 대폭 낮췄다. 현대건설 역시 지난해 국내 수주액(별도 기준)이 16조9000억원이었으나 올해는 36.1% 낮은 10조8000억원을 목표로 세웠다. DL이앤씨는 전체 수주 목표를 높였지만 국내 주택부문 신규수주 목표는 전년(6조3000억원)보다 낮은 6조원을 제시했다.

전체 수주 늘었지만 주택은 줄어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던 주택사업을 놓고 건설업체들의 수주가 보다 소극적으로 바뀐 것은 수치로도 나타난다. 전체 수주는 늘고 주택 부문 수주가 줄어든 것이다.

대한건설협회의 '월간건설경제동향'에 따르면 올 1월 조사에 응답한 국내 2525개 건설업체의 수주액은 20조56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 증가했다. 최근 3년간 1월의 국내 건설 수주액은 ▲2020년 10조8000억원 ▲2021년 14조8000억원 ▲2022년 17조6000억원 등으로 계속 증가했다.

반면 주거용 건축부문 수주 실적은 1년 전보다 줄었다. 올 1월 주거용 건축 수주액은 3조6903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9956억원) 대비 38.4%가량 감소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9조원대 플랜트 공사 계약으로 1월 수주 실적이 일시 증가했고 부동산 경기 위축 영향을 받아 민간 건축 실적이 34.9%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선행지표인 주택 인·허가 또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수주가 부진한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 1월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5359가구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올해 10만가구를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 제공=SK에코플랜트
사진 제공=SK에코플랜트
수익성 저하 못 피해
주요 건설업체들은 신규수주에서 전년 대비 높은 실적을 기록했지만 수익성은 하락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16조9680억원) 현대건설(35조4257억원) GS건설(16조740억원) 등은 지난해 연결 기준 역대 최대 신규 수주를 기록했다. 대우건설과 DL이앤씨는 신규수주가 전년 대비 각각 25.7%, 12.8% 증가했다.

다만 수익성에선 희비가 엇갈렸다. GS건설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555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4.1% 줄었다. 건축·주택부문 매출 원가율을 보수적으로 반영한 영향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해당 부문 원가율은 2021년 78.1%에서 2022년 87.3%로 올랐다. DL이앤씨도 별도 기준 주택부문 원가율이 전년(78.8%) 대비 7.9%포인트 오른 86.7%로 영업이익이 반토막났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원자잿값 상승으로 주택사업 원가율이 오르면서 주택사업 비중이 큰 업체들이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주요 건설업체들의 건축·주택사업 매출 비중을 보면 SK에코플랜트(83.0%) GS건설(75.9%) DL이앤씨(70.4%) 현대건설(49.0%) 포스코건설(42.7%) 삼성물산(33.8%) 등으로 신사업 진출과 관련 없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사업보고서에 신사업 매출 비율을 공개한 SK에코플랜트는 환경·에너지사업 비중이 17.0%로, GS건설(8.3%)보다 높았다.

PF 비상에 중견업체도 신사업
대형건설업체들은 과거 플랜트 분야에 진출해 새로운 수익창출을 이룬 것처럼 장시간 신사업에 투자할 경우 사업 리스크 분산과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택사업 비중이 큰 중견업체들도 대형업체와의 양극화를 우려해 신사업에 나서고 있다.

계룡건설은 '데이터센터 사업'과 '벤처 투자' 등을 사업 목적에 새로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한신공영도 올해 주총에서 '통신·방송장비 제조업' '전자상거래업' 등을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아이에스(IS)동서는 폐배터리 재활용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주요 건설업체의 PF 보증(연대보증·채무인수·자금보충) 규모는 2018년 말 11조원에서 2022년 9월 말 20조원으로 증가했다. 20조원 가운데 미착공 사업장이 63%, 신용 A등급 회사가 71%를 차지했다.

김상수 한국신용평가 수석애널리스트는 "올 2월 시공능력 83위 대우조선해양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개시하며 자금조달 측면에서 건설산업에 대한 회피 기조가 나타나 앞으로 공사비 회수 지연, 우발채무 현실화 등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