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청담IC 생긴다… 2028년 완공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본격화
정영희 기자
6,766
공유하기
|
서울 동부간선도로 월릉교에서 대치동(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까지 총 12.2㎞의 지하화 사업이 올 하반기 착공된다. 지하도로가 완공되면 동남-동북권 간 통행시간이 약 20분가량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 성남에서 서울 강남 일원동까지를 연결하는 '성남강남 고속도로' 연결구간 또한 국토교통부와 협력해 올해 안에 타당성 조사를 시행할 방침이다.
27일 서울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월릉-대치 12.2㎞ 구간 왕복 4차로의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1단계 사업 중 '민간투자사업' 구간(월릉-삼성)의 시행자로 결정하고 이날 실시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시는 2015년 8월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접수받아 한국개발연구원의 민자적격성조사,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실무협상 등을 완료하고 지난해 12월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번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동서울지하도로 주식회사는 대표회사인 대우건설을 비롯해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등 총 12개사가 출자해 설립됐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기존 동부간선도로의 장·단거리 교통을 분리하기 위해 월릉교-대치동(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구간에 대심도 4차로 지하도로(터널)를 설치하고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을 지하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자사업 구간과 재정사업 구간으로 나눠 건설이 추진된다.
시는 동부간선도로와 영동대로 구간의 교통여건과 시의 재정여건과 사업목적 등을 고려해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1단계에선 교통개선을 위한 대심도 지하도로(월릉-대치·12.2㎞)를 2028년까지 건설하고 2단계로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월계-송정, 11.5㎞)을 지하화한다는 계획이다.
1단계 사업 중 '민간투자사업' 구간은 중랑천과 한강 하저를 통과하는 연장 10.1㎞의 왕복 4차로 소형차 전용 지하도로다. 2015년 4월 불변가 기준 민간기업 6378억원, 시비 3496억원의 총사업비 9874억원이 든다.
재정사업은 영동대교 남단부터 대치동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까지 연장 2.1㎞ 구간으로 시비 3348억원이 투입된다. 민자사업 구간은 월릉교에서 영동대교 남단까지 대심도 4차로, 연장 10.1㎞의 지하도로로 건설될 예정이다. 올 하반기 착공해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동부간선도로 월릉IC와 군자IC를 이용해 진출입이 가능하며 영동대로에 삼성IC, 도산대로에 청담IC가 각각 신설된다. 진출입 IC 4개소에는 지하도로 내 공기를 정화해 깨끗한 공기만 배출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설치, 주변 환경피해가 없도록 계획했다. 시 재정을 투입하는 영동대로 재정사업' 구간(삼성-대치)도 지난 2월 시공사 선정을 완료해 상반기 착공, 민자사업 구간과 함께 2028년 동시 개통을 앞두고 있다.km
시는 동부간선지하도로가 완공되면 석관동(월릉교)에서 대치동까지 왕복 4차로로 직접 연결하는 지하도로가 뚫리면서 하루 약 7만여대의 차량이 지하로 분산돼 지상도로의 차량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완료 시 기존 동부간선도로 장안교-중랑교 사이 교통량은 하루 15만5100대에서 8만7517대로 6만7583대(최대 43%) 줄어들 전망이다.
동남-동북권 간 통행시간이 기존 3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되고, 동남권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파급을 동북권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1단계 사업 완료 후 2단계로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을 지하화해 단거리 지역교통을 연결하고 중랑천 생태복원을 통해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조성한다.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인 노원 하계동부터 성동 송정동까지 11.5㎞ 왕복 4차로 도로에 대해 1조637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며, 착수는 2029년 이후로 예정돼 있다.
시는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구간이 끝나는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부터 '성남강남 고속국도 종점부(일원동 일원터널교차로)' 사이 연결구간 3.0㎞를 대상으로 올해 타당성조사를 시행한다. 2028년 민자사업구간과 동시 개통을 목표로 '성남강남 고속국도' 사업주체인 국토교통부와 적극 협력해 사업을 추진한다.
'성남강남 고속국도'는 경기 성남 수정구 금토동에서 서울 강남 일원동까지 연결하는 9.5㎞, 왕복 4차로의 고속국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연결구간이 개통될 경우 서울 동북권부터 동남권. 경기 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이 구축돼 지역간 균형발전 도모와 교통편의 증진 등이 예상된다. 영동대로의 교통정체도 현재보다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진석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로 상습정체를 해결하고 동북권과 동남권 간선도로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동남권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효과를 동북권으로 확산시켜 강남?북 균형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동북권 8개구 320만 시민들의 발이 되어 경부고속국도 등과 연결되는 중추적인 교통로가 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