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특례보금 왜 받아?… 국민·농협, 주담대 금리 3%대로 뚝
박슬기 기자
5,633
공유하기
|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금리가 3%대까지 떨어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통화 긴축에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시장금리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최대 5억원까지 빌릴 수 있는 특레보금자리론 금리가 4%대로 4월에도 동결되면서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더 경쟁력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전날 기준 3.66~5.83%로 집계됐다. 특히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이 고정형 주담대 금리를 최저 3%대로 낮췄다.
이날 KB국민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3.66~5.06%로 5대 은행 중 금리 하단이 가장 낮았다. NH농협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3.94~5.84%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지만 시중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최저금리가 떨어진 것은 준거금리로 활용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5년물(무보증·AAA) 금리는 지난 2일 4.564%를 기록하다 지난 29일 3.887%로 0.677%포인트 하락했다.
당초 미 연준이 이달 '빅스텝'(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을 거라는 관측이 우세했지만 지난 10일 SVB가 파산하면서 금융시스템 불안 위기가 커지자 연준은 시장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 폭을 0.25%포인트로 줄였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인식이 확산하자 투자자들이 채권 투자에 나서면서 채권가격은 오르고 금리가 떨어진 것이다.
주담대 금리가 하락한 배경엔 시장금리 하락도 있지만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상생금융을 강조하면서 은행들이 가계대출 금리를 적극적으로 인하한 영향도 있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9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3%포인트 인하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12월부터 4개월 연속 주담대 금리를 최대 1.35%포인트 내렸다.
인터넷전문은행 고정형 주담대 금리도 3%대로 떨어졌다. 이날 기준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각각 3.70~4.69%, 3.746~5.357%로 집계됐다.
이에 주택금융공사가 올 1월30일부터 판매한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 경쟁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집값이 9억원을 넘지 않으면 최저 연 3.25%의 고정금리로 소득과 관계없이 최대 5억원을 대출해주는 정책 주택담보대출 상품이다.
금리는 우대형이 연 4.05%(만기 10년)부터 4.35%(50년), 일반형의 경우 연 4.15%(10년)부터 4.45%(50년)다.
저소득청년, 신혼가구, 사회적 배려층 등의 경우 최대 0.9%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받아 최저 3.25%(10년)부터 3.55%(50년)의 금리가 적용된다.
하지만 우대금리를 받는 조건이 까다로워 혜택을 보는 차주가 제한적인 만큼 사실상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는 4%대 초중반으로 봐야 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실수요자들 사이에선 특례보금자리론이나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가 앞으로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며 "우대금리를 못 받는 경우 특례보금자리론을 선택할 유인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슬기 기자
생활에 꼭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