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5.9% 생계비대출 신청, 노인 아닌 30·40대가 가장 많았다
박슬기 기자
2,879
공유하기
|
최대 100만원을 빌려주는 소액생계비 대출이 지난 27일부터 상담 접수를 시작한 가운데 사전 신청자의 약 80%가 30~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국민의힘·비례대표) 의원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진행된 소액생계비 대출 사전예약 신청 당시 접수된 건수는 2만5399건에 달했다.
이 중 웹과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수된 1만7269건의 경우 성별과 연령대를 기재하게 돼 있는데 성별의 경우 남성이 1만303건(59.7%), 여성이 6966건(40.3%)으로 약 6대4의 비율을 보였다.
|
연령대별 신청현황을 보면 40대가 5379건으로 31.1%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30대가 4313건으로 25%를 차지하며 두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경제활동의 중심축으로 볼 수 있는 30~40대가 전체 대출 신청의 53.1%에 달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50대가 3792건으로 22%의 비중을 차지했다. 20대는 1755건, 60대는 1646건으로 각각 10.2%, 9.5%를 기록했다.
소액 생계비 대출 금리는 연 15.9%에 달해 고금리에 속하지만 당장 병원비나 생활비 등 긴급하게 사용할 자금이 필요한 이들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저신용자 대상 대출이 급감하는 등 서민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이들이 꾸준히 발생하는 가운데 소액생계비대출이 전 연령대에 걸쳐 가뭄의 단비처럼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의원실의 설명이다.
최승재 의원은 "자료를 요약하면 대한민국의 경제활동 주축을 담당하는 30~50대 아버지, 어머니들이 100만원의 소액을 15.9%의 고금리에 생계를 위한 대출로 이용해야 할 만큼 위기에 몰린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최근 고금리와 경기침체하에서 금융권이 저신용자나 서민 대상 대출을 줄이는 등 어려움을 외면하고 사회적 책임을 망각하는 모습을 보이다 보니 갈 곳을 잃은 서민, 취약계층들이 극한까지 몰려 소액 신용대출 창구를 찾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슬기 기자
생활에 꼭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