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오른쪽이 장재훈 현대차 사장. (왼쪽부터) 유원하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 김선섭 아시아대권역장 부사장 /사진=장동규 기자
사진 오른쪽이 장재훈 현대차 사장. (왼쪽부터) 유원하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 김선섭 아시아대권역장 부사장 /사진=장동규 기자


'2023서울모빌리티쇼'를 찾은 국내 완성차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은 한결같이 현재의 위기를 넘어 미래 모빌리티로 나아간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현재와 미래를 잇는 연결고리로서 '모빌리티'의 진화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30일 '2023서울모빌리티쇼' 현장을 찾은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은 기자들과 만나 "미래 관점에서 봤을 때 얼마만큼 고객에게 편의, 자유, 그리고 경제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다"며 "그런 지향점에서 저희가 여러가지 툴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말씀드린 것처럼 단순히 탈 것 외에도 연결성을 더 가져야 하며 그런 부분에서 UAM 도심 항공이나 로보틱스를 활용하는 부분까지 다 연결성 있게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장 사장은 현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중국시장은 가장 어려운 시장이고 고민 많이 하고 있다"며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는 가능한 조건 안에서 상업용 리스와 함께 준비하는 공장 등을 통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선보인 '디 엣지 쏘나타'에 대해서는 "8세대까지 오면서 많은 고민이 되고 있는데, 역시 전동화의 큰 흐름에서 판단을 해야할 것 같다. 계속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장재훈 사장은 이후 임원들과 함께 행사장을 돌아다녔는데 현대 스타리아를 튜닝한 캠핑카에 관심을 보였고, 이후 중소업체가 만든 전기상용차에는 직접 탑승하며 임원들과 의견을 교환했다. 테슬라와 블루샤크 등 전동화 브랜드 제품도 지켜봤다.
맨 오른쪽이 송호성 기아 사장. (왼쪽부터) 이동열 국내마케팅실 상무, 카림 하비브 기아글로벌디자인센터 부사장, 권혁호 국내사업본부 부사장, 김효린 제품UX총괄실 상무 /사진=장동규 기자
맨 오른쪽이 송호성 기아 사장. (왼쪽부터) 이동열 국내마케팅실 상무, 카림 하비브 기아글로벌디자인센터 부사장, 권혁호 국내사업본부 부사장, 김효린 제품UX총괄실 상무 /사진=장동규 기자


송호성 기아 사장도 중국시장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중국시장에선 지금까지 전기차가 없어서 힘들었는데 올해부터 전기차 들어가서 제대로 한번 해볼 예정"이라며 "EV5 이후에도 계속 신차를 투입하며 잘 준비해서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아가 중국에 전기차를 론칭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발표했기 때문에 많은 미디어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는 것 같다"며 "딜러들도 오랫동안 전기차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전기차를 가져온다는 점에 많이 고무돼 있어서 다 잘 될 걸로 생각한다"고 현지 반응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송 사장은 "EV는 앞으로 나올 차가 많은데 모든 레인지의 제품을 만들어서 다양한 가격대로 고객의 기대를 맞추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매년 신차들이 나올 예정이니 기대해달라"고 자신했다.


송호성 사장도 행사장을 둘러보며 다양한 제품을 살폈다. 특히 테슬라 부스에서는 '모델Y'를 탑승했는데 이에 대해 "요새 테슬라 차 많이 타보고 있다"며 "뭐가 좋은지, 어떤 게 불편한지 살피는데, 좋은 점도 있고 불편한 점도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SUV 토레스 TX와 함께 선 곽재선 KG모빌리티 회장 /사진=장동규 기자
SUV 토레스 TX와 함께 선 곽재선 KG모빌리티 회장 /사진=장동규 기자


곽재선 KG모빌리티 회장은 새로운 출발을 선언하면서 "모든 어려움을 떨쳐내고 새로운 모빌리티 회사로 세상 속에 가치를 만들고 모든 사람들에게 박수 받는 새로운 회사로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곽 회장은 "올해 수출 비중이 예년보다 10~20% 오른 상황으로 앞으로도 내수보다는 수출 위주 전략을 펴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각국의 관심 많은 회사들이 와서 완성차 수출에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의 배터리 파트너사인 BYD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현재 배터리 실력이 떨어지지 않고 가장 걱정하는 화재 안전성에 탁월한 면이 있다"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계속 회의를 하며 서로 좋은 전략을 마련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정용원 KG모빌리티 대표는 "다른 글로벌 자동차회사처럼 하늘과 땅과 바다를 아우르는 모빌리티는 아직 준비가 덜 됐다"고 인정하면서도 "두 번 다시 고객님들을 실망시키지 않도록 신차를 계획대로 출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