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동산정책 부정 평가 이유… "집값 비싸" 9% "효과 없어" 8%
김노향 기자
3,896
공유하기
|
국민 절반 가까운 사람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현재까지 주택공급대책 발표와 부동산 규제 완화 등을 실시했지만, 고금리 여파로 정책 실효성이 낮은 데다 일부는 '부자를 위한 정책'이라는 평가를 했다.
16일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47%는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자의 27%는 '잘하고 있다'고 봤다.(응답률 8.2%·총통화 1만2251명)
연령별로는 '40대'(64%) '30대'(63%)가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한 비중이 컸다. 반대로 '60대'(42%) '70대 이상'(37%)은 긍정 답변을 한 사람이 많았다.
지역별로 '광주·전라'(57%) '대전·세종·충청'(50%)은 '잘못하고 있다'는 비중이, '대구·경북'(36%) '인천·경기'(29%)는 '잘하고 있다'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수' 지지층은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호의적(51%)으로 봤고, '진보' 성향에선 비판적(69%)으로 봤다.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의 9%는 '여전히 비싼 집값·더 내려야 한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다음으로 ▲실효성·효과없음(8%) ▲집값 하락·폭락(7%) ▲고금리·금리 인상(6%) ▲부자를 위한 정책(6%) 등이 이어졌다.
정부의 부동산 거래 활성화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9%가 '해야 한다'고 답했다. 나머지 41%는 '필요 없다', 10%는 '모름·응답거절'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1년간 집값 전망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51%)은 '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를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8%, '변화 없을 것'은 22%, 의견 유보는 9%였다.
조사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