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하락 이제 체감하네… 주담대 月 이자 47만원↓
박슬기 기자
10,314
공유하기
|
이달 들어 가계대출 금리 인하를 체감한다는 차주들이 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등의 준거금리로 활용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금리 변동 주기인 6개월 전보다 낮아져서다.
다만 금리 인하를 체감하는 대출자들은 변동금리를 택한 이들로 고정금리를 택한 차주는 여전히 금리 인하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44%로 전월(3.56%)과 비교해 0.12%포인트 감소했다. 6개월 전인 지난해 10월 코픽스(3.98%)과 비교하면 약 0.42%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11~12월 변동형 주담대·전세대출을 신규로 받거나 금리 재산정 시기가 도래해 10월 코픽스를 적용, 대출금리가 뛰었던 차주들은 이달 또는 다음달 더 낮은 금리를 적용받게 되는 것이다.
코픽스는 지난해 11월 4.34%로 정점을 찍은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하다 올 3월 3.56%로 소폭 반등한 이후 4월 3.44%로 다시 떨어졌다. 올 들어 코픽스가 6개월 전과 비교해 더 낮은 수준을 보인 것은 처음이다.
코픽스는 농협, 신한, 우리, SC제일, 하나, 기업, 국민, 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해 상승 또는 하락한다.
코픽스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코픽스와 연동된 시중은행 변동형 주담대 금리 하단이 9개월 만에 3%대로 떨어졌다.
KB국민은행의 신규 코픽스 연동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지난 14일 4.09~5.49에서 24일 3.97~5.37%로 하향 조정됐다.
금리 인하를 체감하는 대출자수는 갈수록 많아질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연 5%대를 넘었던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최근 들어 2%대로 떨어진 상품이 늘어난 만큼 5월 코픽스도 하락세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전망이 현실화 하면 다음달 15일 이후 금리 재산정 시기를 맞는 변동형 주담대·전세대출 차주들은 적어도 0.9%포인트의 금리 인하를 체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1월 코픽스는 4.34%를 기록,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앞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3월30일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우리은행 '영등포 시니어플러스점' 개설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5월 내지는 6월, 상반기가 지나기 전에는 국민들이 은행권의 노력과 최근 단기자금시장 안정으로 인한 금리 하락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KB국민은행에서 4억원의 변동형 주담대를 지난해 11월 말 30년 만기·원리금균등상환에다 5.91%의 금리로 받았던 대출자의 경우 이달 말 3.97%의 금리로 재산정돼 적용되면 월 원리금이 237만5106원에서 190만2750원으로 47만2356원 줄어든다.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세입자의 이자부담도 줄어든다. 2억원의 전세자금대출을 받은 차주가 지난해 11월 말부터 6.12%의 금리를 적용 받다가 6개월 뒤인 이달 말부터 3.56%의 금리로 재산정되면 월 이자가 102만원에서 59만원으로43만원 줄어든다. 고물가와 전기·가스요금인상으로 지출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서민들은 대출이자 부담을 한결 덜 수 있게 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달 말부터 금리인하를 직접 체감하는 차주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예금금리 하락세는 지속돼 코픽스는 계속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슬기 기자
생활에 꼭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