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공항철도는 검암역 광장에서 이날부터 29일까지 '공항철도 증차사업'에 따른 신규 전동차 공개를 위한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항철도 증차사업이란 승강장 혼잡도를 조절하기 위해 2025년 상반기부터 신규 전동차 9편성을 추가로 배치하는 신규 사업이다./사진=정영희 기자
25일 공항철도는 검암역 광장에서 이날부터 29일까지 '공항철도 증차사업'에 따른 신규 전동차 공개를 위한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항철도 증차사업이란 승강장 혼잡도를 조절하기 위해 2025년 상반기부터 신규 전동차 9편성을 추가로 배치하는 신규 사업이다./사진=정영희 기자


공향철도가 2025년부터 운행 개시 예정인 신규 전동차 실물모형을 공개했다. 시속 150㎞로 운행 가능한 고속 열차 운행으로 출·퇴근시간 혼잡도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입문이 열고 닫힐 때 알림이 울리고 좌석 폭이 보다 넓어지는 등 고객 편의를 위한 기능도 추가됐다.


25일 공항철도는 '공항철도 증차사업'의 신규 전동차를 공개하는 전시회를 검암역 광장에서 개최했다. 이날부터 오는 29일까지 진행한다. 전시회는 첫날 오후 2시부터 오후 6시까지, 둘째 날부터 마지막 날까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방한다.

공항철도 증차사업은 2025년 상반기부터 신규 전동차 9편성을 추가 투입해 열차와 승강장의 혼잡률을 낮추고 이용객이 집중되는 시간의 운행 간격을 4분대로 단축하기 위해 공항철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공항철도는 노선 주변 개발 등으로 인한 이용객 증가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2019년부터 증차사업을 준비했다. 지난해 1월 신규 차량 제작에 착수했다.

신규 열차가 투입되면 열차 내 혼잡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공항철도에 따르면 지난 4월 평일 기준 계양역의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평균 이용객 수는 1만5553명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 수가 6만8583명이다. 전체 이용객의 23%가량이 출근 시간대에 집중돼 시민 불편을 초래해왔다.


이번에 새로 제작하는 공항철도 신규 전동차는 기존 열차에 비해 속도가 크게 향상됐다. 현재 열차의 최고 운행 속도는 시속 110㎞인데 비해 신규 차량은 시속 150㎞로 운행할 수 있다. 2031년 공항철도 고속화 사업을 고려해 설계됐다.

외형 디자인은 날렵하고 세련된 인상의 속도감이 강조된 전두부와 항공기 날개를 표현한 측면부를 통해 고속 차량의 모습을 갖췄다. 열차 운행 안전성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 주요 장치의 고장 발생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상태 기반 유지 보수'(Condition Based Maintenance·CBM) 시스템을 도입한다.


▲고속형 싱글암 집전장치 ▲휠디스크를 사용을 통한 제동 성능 향상 ▲소음차단을 위한 플러그인 도어 적용 ▲무정전 비상방송설비 설치 등으로 안전성을 크게 높였다. ▲차량연결부 개선 ▲좌석 폭 확장(436㎜→480㎜) ▲출입문 개폐 알림 설치 ▲공기청정기·자외선 살균기 설치 등 쾌적한 열차 이용을 위한 편의시설도 개선됐다.

이종훈 공항철도 미래사업단장은 "열차 내 혼잡도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열차운행의 안전성과 이용객 편의 향상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