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20일 전남도와나주시는 한국에너지공대 출연 협약식을 개최했다/사진=하국에너지공과대학 홈페이지 캡쳐
지난해 4월 20일 전남도와나주시는 한국에너지공대 출연 협약식을 개최했다/사진=하국에너지공과대학 홈페이지 캡쳐


윤석열 정부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에 대한 일부 출연금을 축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도 이같은 움직임에 가세하며 조목모목 반박하고 나섰다.


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광주경실련)은 25일 "윤석열 정부는 정치보복을 위해 비수도권 부흥의 근간인 한국에너지공대를 탄압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광주경실련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KENTECH은 문재인 정부시절 국가균형발전과 에너지분야의 세계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국회에서 여야 합의하에 특별법을 제정해 만들어진 대학으로 설립 취지와 목적을 훼손하는 특혜설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설립이 대전, 경북, 울산, 대구에 대한 특혜가 아니듯 KENTECH의 설립 역시 결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에 대한 특혜가 아니며, 국가가 설립한 국립대학도 아니고, 과기부가 설립한 과학기술대학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한전과 전남도, 나주시 그리고 지역기업, 전문가들이 함께 힘을 합쳐 만들었으니 공공형이라 할 수 있다"면서 "정부는 설립인가 정도의 작은 지원을 해줬을 뿐인데 어찌 전 정부의 특혜 운운하는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전라남도가 혁신도시의 공공기관과 상의해 자기 지역의 혁신도시에 대학 설립을 논의하는 것은 지자체의 의무다"면서 "전라남도와 나주시는 총 200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출연금을 공동 부담함으로써 정치적 특혜가 아닌 지역 발전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었지만 정부는 1원의 세금도 지원하지 않았다"고 힐난했다.

광주경실련은 "KENTECH의 설립을 한전과 지역 그리고 국가의 미래를 위한 자구책이 아닌 문재인정부의 특혜로 호도해 정치적 이익을 취하려 하는 정치세력의 책임 또한 면제될 수 없고, 이렇게 흔들고 있는 정부와 국민의힘의 책임이 막중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강력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민주당 또한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