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봉투·코인·성추행… '악재' 이어지는 민주당, 지도부 결단은?
염윤경 기자
1,392
공유하기
|
더불어민주당이 연이은 악재로 소란스럽다. 당의 위기 극복과 신뢰회복을 위해 민주당 지도부가 어떤 결단을 내릴지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 안팎에서 거론되는 지도부가 직면한 과제로는 ▲혁신기구 구성과 혁신과제 수립 ▲비위 의혹이 불거진 당사자의 반복되는 탈당 문제 해결 ▲강성 지지자의 도 넘은 내부 공격 행위 단속 등 3가지가 있다. 현재 당 지도부는 당직자에 대한 상시 감찰 추진과 이재명 대표의 강성 지지자를 제명하는 등 당 기강 잡기에 나선 모양새다.
정치권을 떠들썩하게 한 김남국 의원의 '코인 의혹'은 민주당의 대표적인 악재다. 해당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민주당은 당 차원 혁신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민주당은 당 내부 인사와 외부 인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혁신기구를 만들고 위원장은 당내 계파나 이해관계와 무관한 외부 인사가 맡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혁신위원회가 어느 정도 권한을 가져야 할지를 두고 민주당 내부에서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난 23일 윤건영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혁신위가 전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며 "당 지도부의 권한을 과감하게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24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도 "전건 혁신위야말로 이재명을 살리는 카드"라고 강조했다.
반면 양이원영 의원은 지난 24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혁신위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당 지도부는 지도부 역할이 있는 것이고 혁신위는 혁신의 역할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의 혁신과 개혁에 중점을 두는 혁신위를 적극적으로 하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며 "전권 위임이 어떤 의미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전했다.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김남국 코인 의혹' '부천시의원 성추행 의혹' 등 연이어 터지는 각종 논란은 민주당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와 함께 의혹이 불거진 이들이 당이 조치를 취하기도 전에 탈당해 버리는 일이 반복되며 이에 대한 당 안팎의 비판도 거세다.
'돈 봉투 의혹' 핵심 대상자로 지목된 송영길 전 대표와 윤관석·이성만 의원은 논란이 커지자 탈당했다. 코인 의혹 당사자인 김남국 의원 역시 "중요한 시기에 당에 그 어떤 피해도 주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탈당했다. 국민의힘 여성 시의원 두 명을 성추행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민주당 소속 부천시의회 의원 A씨도 민주당을 탈당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꼬리 자르기' 라는 지적이 나왔다. 징계를 피하고자 한다는 '꼼수 탈당'이란 문제도 제기됐다. 배윤주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지난 23일 논평을 통해 "민주당에선 김남국 의원의 사례처럼 문제를 일으키고 당의 윤리감찰이 시작되면 탈당하며 '꼬리 자르기'를 시도하는 행태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성 지지자들의 이탈행위 역시 근절해야 할 대상으로 꼽힌다. 최근 민주당은 전혜숙 의원에게 지속적으로 욕설과 폭언이 담긴 문자를 보낸 당원 B씨를 제명 조치했다. 이는 비명(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을 향한 강성 지지자들의 문자폭탄이 이어지자 내부 단속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민주당 내부에서도 강성 지지자들의 이탈 행위를 근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원욱 의원은 지난 21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강성 팬덤을 옹호하는 일부 민주당 의원들에 대해 국민의힘이 하듯 징계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종민 의원도 지난 2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민주적인 정당에서 정말로 꼭 필요한 것은 생각이 서로 다른 사람을 존중해 주는 것"이라며 "생각이 서로 다르다고 '너 수박이다', '너 빨갱이다', '너 좌파다', '너는 반동이다' 하는 것은 민주공화국 역사에 가장 근본적인 폭력 행위였다"고 강성 지지자들을 저격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염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