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환대출 서비스가 31일부터 시작된다./사진=이미지투데이
대환대출 서비스가 31일부터 시작된다./사진=이미지투데이


스마트폰을 통해 원스톱으로 더 싼 이자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서비스'가 오늘(31일) 본격 출범한다.


대출비교 플랫폼과 주요 금융회사 앱 등 두 가지 방법으로 대환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3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은행, 저축은행, 카드·캐피탈사에서 기존에 받은 신용대출 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쉽게 조회해 더 유리한 조건으로 한 번에 갈아탈 수 있게 하는 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는 이날부터 7개 대출비교 플랫폼과 33개 금융사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갈아타기가 가능한 앱은 네이버페이, 뱅크샐러드,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KB국민카드, 웰컴저축은행 등의 대출비교 플랫폼이다. 여기서는 마이데이터를 통해 기존 대출을 확인하고 여러 금융회사의 대출조건을 비교한 후 선택한 금융회사의 앱으로 이동해 대출을 갈아탈 수 있다

개별 금융회사 앱에서도 대출을 갈아탈 수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과 케이·카카오·토스뱅크 등 3대 인터넷전문은행 등 15개 은행 앱, 페퍼·JT저축·한국투자·다올·모아저축은행 등 7개 저축은행, 신한·삼성·현대·롯데카드 등 7개 카드사, BNK·DGB·JB우리·NH캐피탈 등 4개 캐피탈사에서다.


다만 개별 금융회사 앱을 통해서는 다른 회사 신용대출 상품을 비교할 수 없다. 다음달부터는 SBI저축은행과 현대캐피탈 등 2개 금융사 앱이 추가될 예정이다.

대환대출 대상은 10억원 이하의 기존 대출 중에 직장인대출이나 마이너스통장처럼 보증·담보가 없는 신용대출이다. 금융위는 연내에 신용대출에 국한된 대환대출 대상을 주택담보대출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대환대출 서비스가 출범한다고 해서 별도의 통합된 사이트가 있진 않다.

갈아타고자 할 금융사를 선택한 경우 해당 금융사 앱을 이용하면 되는데 여러 금융회사를 비교하는 것이 더 나은 조건의 대출을 찾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대출비교 플랫폼 또는 금융회사 앱 내 대환대출 서비스를 선택하면 내가 기존에 받은 대출의 금리, 갚아야 할 금액 등을 먼저 확인한다.

그 다음 나의 소득, 직장, 자산 정보를 입력해 새로 받을 수 있는 대출조건을 조회, 더 나은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특히 플랫폼·금융회사 앱에서 대출조건을 반복 조회해도 신용점수에 영향 없다.

가장 유리한 조건의 대출로 갈아타기 위해 내가 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후 내가 아낄 수 있는 이자와 기존 대출을 갚을 때 내는 중도상환 수수료를 비교해 갈아타는 게 얼마나 유리한 지 파악할 수 있다.

각 플랫폼 앱은 이러한 정보를 소비자가 한 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우대금리 조건의 선택·해제에 따른 실시간 금리 변화, 소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모든 정보를 감안해 새 대출을 최종 선택하면 해당 금융회사 앱에서 대출계약을 진행한다. 계약이 완료되면 소비자의 기존 대출금은 대출이동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상환된다. 소비자가 기존 대출이 완전히 갚아진 사실과 새 대출을 받은 결과를 모두 확인하면 갈아타기가 끝난다.

대환대출 서비스 이용 시간은 은행 영업시간인 매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며 서비스 이용횟수는 제한이 없다. 다만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대출의 경우 대출계약을 실행한 지 6개월이 경과한 이후에만 시스템을 이용해 갈아탈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 등의 경우 주요 은행 등의 영업점에 방문해 대출 갈아타기를 신청할 수 있다. 금융회사 간 상환 처리를 전산화한 대출이동시스템을 통해 새 금융회사 한 곳만 방문해도 본인의 기존대출을 확인하고 상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